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아신왕과 광개토태왕 2

윤여동설 - 백제 진사왕이 죽은 구원행궁(狗原行宮)의 위치를 찾아라

윤여동설 - 백제 진사왕이 죽은 구원행궁(狗原行宮)의 위치를 찾아라     삼국사기 백제본기 11대 비류왕 22년(A.D.325) "11월 왕이 구원(狗原) 북쪽에서 사냥을 하였는데 손수 사슴을 쏘았다" 라고 기록되어 있고,   16대 진사왕 6년(A.D.390) "겨울10월 왕이 구원(狗原)에서 사냥을 하고 7일만에 돌아왔다" 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진사왕 8년(A.D.392) 조를 보면,   “가을 7월 고구려왕 담덕(광개토태왕)이 군사 4만을 거느리고 와서 북쪽 변경을 침공하여 석현성 등 10여성을 함락시켰다.   왕이 담덕이 군사지휘에 능하다는 말을 듣고는 나가서 항전을 하지 못하여 한수(漢水) 북쪽의 부락들을 많이 빼앗겼다.   겨울 10월 고구려가 관미성(關彌城)을 쳐서 함락 시켰다.  왕..

카테고리 없음 2011.12.11

윤여동설 - 백제 17대 아신왕의 이름은 부여휘(扶餘暉)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 17대 아신왕의 이름은 부여휘(扶餘暉) - 최초주장   진서(晉書) 권9 제기 제9 효무제 태원 11년(A.D.386) 4월 조를 보면,  “백제왕세자 "여휘(餘暉)"를 사지절도독진동장군백제왕으로 삼았다(以百濟王世子餘暉爲使持節都督鎭東將軍百濟王)”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백제왕실의 본래 성씨는 부여씨였으므로 사실은 “부여휘(扶餘暉)”를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서에 기록되어 있는 이 백제왕세자 "부여휘"는 과연 누구를 말하는 것일까?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15대 침류왕이 385년 11월에 죽자 그 뒤를 이어 침류왕의 동생인 16대 진사왕이 왕위에 올랐고, 진사왕이 재위 8년인 392년 11월에 죽은 뒤에야 침류왕의 장자인 아신왕이 왕위에 오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카테고리 없음 201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