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동설 - 새로 밝히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초기 기록의 진실
졸본부여 건국시조 동명왕
..............|...................
장자 ↓ 차자 ↓
부여무서왕 (실명)
↓
우태= 소서노
↓
백제건국시조 온조왕
↓
자(실명 :온조왕보다 먼저 죽었다)
↓
2대 다루왕
↓
자(실명 : 다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3대 기루왕
↓
자(실명 : 기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4대 개루왕
................................................I..................................................
↓ ↓
5대초고왕 구태
↓
6대 구수왕 자(실명)
↓ ↓
자(실명 : 구수왕보다 일찍 죽었다) 8대 고이왕
.I..............................
↓ ↓ ↓
7대 사반왕 자(실명) 9대 책계왕
많은 사람들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초기 기록에 대하여 많은 의문을 나타낸다.
그것은 그 기록 속 왕들의 세계(世系)와 생몰연대 등이 선뜻 이해할 수 없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자 일부 역사학자들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초기 기록을 믿을 수 없다고 보고 백제의 건국연대를 훨씬 뒤로 보려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그 기록 속 진실을 정확히 알아내지 못한 결과라 생각된다. 백제 시조 온조왕의 혈통에 대하여 여러 논란이 있지만 필자는 그가 졸본부여의 건국시조인 동명왕(주몽과는 별개의 인물이다)의 후예인 것이 확실하다고 보고 있고, 그의 아버지는 동명왕의 손자로 보이는 우태이고, 어머니는 연타발의 딸 소서노가 틀림없을 것이다.
☆ 고구려의 건국시조 주몽은 북부여의 건국시조인 해모수의 후예이고, 백제 시조 온조왕은 졸본부여의 건국시조 동명왕 부여두막의 후예로서 혈통이 다르다.
그런데 소서노는 기원전 66년생이었다.
따라서 그녀가 18세쯤에 장자인 비류를 낳았다면 비류는 기원전 49년생이 되고, 20세쯤 다시 둘째인 온조를 낳았다면 온조는 기원전 47년생이 된다.(필자주: 혹시 비류와 온조가 한날 한시에 태어난 쌍둥이 형제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로부터 백제 초기 왕위 계승의 의문을 풀어보기로 하자.
삼국사기는 백제의 건국시기를 기원전 18년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때 온조왕의 나이가 30세쯤이었고, 그는 재위 46년째인 서기 28년 2월에 죽었다. 따라서 온조왕은 약 75세쯤에 죽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온조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왕은 다루왕인데, 삼국사기는 다루왕이 온조왕의 장자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1세대를 30년 정도로 계산한다면 다루왕이 왕위에 오를 때 약 45세쯤의 나이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다루왕은 왕위에 올라 무려 50년을 재위하고 서기 77년 9월에 죽었다는 것이다. 삼국사기의 기록대로라면 다루왕은 95세 정도를 살았다는 말이 된다.
그리고 2대 다루왕의 뒤를 이은 3대 기루왕에 대하여 "기루왕은 다루왕의 장자이다. 그의 의지와 식견이 넓고 원대하여 사소한 일에 마음을 두지 않았다. 다루왕 재위 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50년에 왕이 죽어 왕위를 이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태자로 책봉되고 나서도 무려 44년이 지난 후에야 왕위에 올랐다는 말이 되는데, 그의 재위 기간이 무려 52년이나 되고, 서기 128년 11월에 죽었다는 것이다.
그 아버지로 기록되고 있는 다루왕이 95세 정도에 죽었다면 그때 그 장자인 기루왕은 약 65세 정도는 되었을 것인데, 재위기간이 52년이니 기록대로라면 기루왕은 117세 정도까지 살았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또 3대 기루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4대 개루왕이 기루왕의 아들이라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몇째 아들이라는 기록은 없지만 개루왕은 재위 39년인 서기 166년에 죽는다. 그 아버지 기루왕이 117세에 죽었고, 개루왕이 장자가 아니므로 40년 정도 연령차이가 난다고 가정할 경우 개루왕이 왕위에 오를 때 이미 77세쯤의 나이였을 것이므로, 기록대로라면 개루왕 역시 116세 정도까지 살았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또 개루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5대 초고왕도 개루왕의 아들이라 기록되어 있는데, 재위 49년인 서기 214년 10월에 죽었다는 것이다. 그 아버지가 116세 정도에 죽었고, 초고왕 역시 장자로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40년의 연령차이가 난다고 가정할 경우 초고왕이 왕위에 오를 때 76세 정도였고, 125세쯤에 죽었다는 말이 된다.
그리고 또 초고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6대 구수왕은 초고왕의 장자로 기록되어 있고, 그는 재위 21년인 서기 234년에 죽었다.
그런데 그 아버지로 기록되고 있는 초고왕이 125세쯤에 죽었고, 구수왕이 초고왕의 장자라면 구수왕이 왕위에 오를 때 95세쯤의 나이였다고 추정할 수 있는데, 재위 21년에 죽었으니 구수왕 역시 116세 정도까지 살았다는 말이 되고, 구수왕의 뒤를 이어 잠깐 왕위에 올랐던 사람은 7대 사반왕이었다. 그런데 8대 고이왕 조를 보면, "고이왕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다. 구수왕이 왕위에 있은지 21년에 죽고 그의 장자 사반이 왕위를 이었으나 나이가 어려 정사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초고왕의 동복아우 고이가 왕위에 올랐다" 라고 기록되어 있으니 6대 구수왕이 116세 정도의 나이로 죽었을 때 그 아들 사반이 매우 어렸다는 것이다. 이것이 사실일 경우 구수왕은 100세도 넘은 나이에 장자인 사반을 낳았다는 말이 되는 것이고, 또 고이왕에 대한 기록도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것이다.
8대 고이왕의 아버지로 기록되고 있는 개루왕은 서기 128년에 왕위에 올라 재위 39년인 166년에 죽었는데, 고이왕이 왕위에 오른 때는 서기 234년이었고, 재위 53년인 서기 286년에 죽었다.
기록대로라면 고이왕이 그 아버지 개루왕이 116세쯤의 나이로 죽은 해에 입태되어 태어났다 하더라도 고이왕이 왕위에 오를 때 그의 나이는 70세쯤이었을 것이고, 또 재위기간이 53년이었으므로 고이왕 역시 120세도 넘게 살다 죽었다는 말이 된다.
기록이 이렇다보니 학자들이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초기 기록을 믿을 수 없다고 하게 된 것이나, 이를 잘 살펴 그 기록들 속에서 역사의 진실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즉 온조왕이 75세 정도의 나이로 죽었을 때 온조왕의 장자라면 약 50세쯤은 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인데, 그 아버지 온조왕보다 일찍 죽었고 손자인 2대 다루왕이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고 보면 어떻게 될까?
그렇다면 이때 온조왕의 손자인 다루왕이 왕위에 오를 때의 나이는 25-30세쯤 되었다고 볼 수 있고, 재위 50년인 75-80세 정도에 죽었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3대 기루왕 역시 2대 다루왕이 오래 살았기 때문에 그 아들은 일찍 죽었고 손자가 왕위를 이었을 것이다. 다루왕이 75-80세쯤의 나이로 죽었을 때 그 아들은 45-50세, 그 손자는 15-20세쯤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다루왕의 아들이 일찍 죽고 손자인 기루왕이 약15-20 세쯤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고 보면, 기루왕이 왕위에 오른 때가 서기 77년이었고, 재위 52년인 서기 128년에 죽었으므로 기루왕은 70세쯤의 나이에 죽었다는 말이된다.
따라서 기루왕이 70세 정도까지 살다 죽었을 때 그 아들은 40여세 정도였을 것이고, 그 손자는 10-15세쯤 되었을 것인데,
이때에도 기루왕의 아들은 이미 죽었고 기루왕의 손자인 4대 개루왕이 왕위를 물려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4대 개루왕은 재위 39년만에 죽었는데, 15세쯤의 나이에 왕위에 올라 55세쯤의 나이로 죽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개루왕이 55세쯤의 나이로 죽었을 때 25세쯤의 아들 5대 초고왕이 다음 왕위를 이어 재위 49년인 75세쯤의 나이로 죽고, 다시 45세쯤의 그 아들 6대 구수왕이 왕위에 올라 재위 21년인 65세쯤의 나이로 죽었는데, 이때 구수왕의 35세쯤 된 아들이 일찍 죽었고 10세쯤의 손자 사반이 있었다면 사반은 할아버지인 구수왕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자 나이 어린 조카 7대 사반왕을 제거하고 왕위를 찬탈한 사람이 있었으니 이가 곧 8대 고이왕인 것이다.
☆ 고이왕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 아니라 개루왕의 둘째 아들로서 공손도의 딸과 혼인했다고 사서에 기록되고 있는 구태의 손자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초기 왕위 계승 기록이 비록 약간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충분히 설명이 가능한데도, 아직까지 그 진실을 밝히지 못하고 오히려 백제의 건국시기를 뒤로 미루어 한참 후대로 보려 한다는 것을 필자로서는 이해하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