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난하패수설 32

윤여동설 – 고구려 평양성(平壤城) 도읍 시기 천문관측지 첨성대터를 찾았다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구려 평양성(平壤城) 도읍 시기 천문관측지 첨성대터를 찾았다 - 최초공개   [고구려 평양성 도읍 시기 첨성대터로 비정되는 지금의 중국 하북성 승덕시 반벽산]   [천상열차분야지도 석각. 태조본] [천성열차분야지도 석각. 숙종복각본] [천상열차분야지도]   지금 전해지고 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초에 제작된 돌에 새긴 천문도인데, 숙종 때 오류를 바로잡아 다시 복각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고구려 평양성(平壤城)에 석각천문도가 있었는데, 전쟁통에 잃어버렸고(필자주 : 당나라군이 패수 강물에 빠뜨려 버렸다고도 한다), 탁본만이 전해져 오던 것을 조선 초에 새로 새겨 만들었다는 내용이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 평양부 고적 조를 보면, “..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윤여동설 – 고대의 압록강(鴨淥江), 살수(薩水), 패수(浿水)는 한반도에 없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대의 압록강(鴨淥江), 살수(薩水), 패수(浿水)는 한반도에 없었다 - 최초주장 [낙양동북 3,600리에 위치했던 고대의 요동(遼東)은 지금의 북경 일원] [위 : 북경(요동)에서 하북성 승덕시(평양성)까지의 거리는 고대의 거리단위로 1,000리쯤 된다] [위 : 북경(요동)에서 하북성 당산시 건창영진(남한성)까지의 거리는 고대의 거리단위로 1,000여리쯤 된다] [위 : 요동 동쪽 1천여리에 위치했다고 중국 사서의 기록에 나타나는 고구려와 백제의 위치] 요동(遼東)은 요수(遼水)의 동쪽지역을 말하는 것으로서, 후한서에는 요동(遼東)이 낙양에서 동북쪽으로 3,600리 떨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고구려와 백제는 요동동쪽 1천여리에 위치했었다고 중국 사서들에 기록되어 있고, 고구려는..

카테고리 없음 2021.05.15

윤여동설 – 우리의 대륙고대사 진실(眞實)찾기의 지름길 영정하요수설(永定河遼水說)과 북경요동설(北京遼東說)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우리의 대륙고대사 진실(眞實)찾기의 지름길 영정하요수설(永定河遼水說)과 북경요동설(北京遼東說) - 최초주장 고대의 요동(遼東)은 낙양 동북3,600리에 위치한다고 하였고, 요수(遼水)를 건너면 바로 그 동쪽이 요동(遼東)이었다. ☆ 고대의 10리는 지금처럼 4km가 아니라 2.3km였다고 한다. 따라서 고대의 1,000리는 230km가 된다. 그런데 지금 낙양에서 북경까지의 고속도로 거리가 약800km쯤 된다. 환산해보면 약 3,500리쯤 된다. 지금의 북경 부근이 옛 요동이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는 요동(遼東) 동쪽 1천여리에 위치해 있었다고 수 많은 사서들에 기록되어 있고, 서진(西晉) 말기에 고구려는 요동(遼東 : 요수 동쪽)을 차지했었고, 백제는 요서..

카테고리 없음 2021.05.08

윤여동설 – 호태왕(광개토왕)비문 영락6년(A.D.396) 병신년 조의 새 해석 - 최초주장

윤여동설 – 호태왕(광개토왕)비문 영락6년(A.D.396) 병신년 조의 새 해석 - 최초주장 영락 6년(A.D.396) 병신년 조 百殘新羅舊是屬民 백잔과 신라는 옛날 (우리의) 속민이었다 由來朝貢 그런 이유로 조공을 바쳐왔다 而(倦)以辛卯年來 그런데 신묘년이래 (조공 바치는 것을) 게을리 하였다 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 바다를 건너 백잔... 신라를 격파하여 신민으로 만들기 위하여 以六年丙申 王躬率水軍 討伐殘國 영락 6년 병신년에 왕이 몸소 수군을 이끌고 백잔국을 토벌하였다 軍至窠南攻取 軍至窠南攻取 壹八城 臼模盧城 各模盧城 于氐利城 ☆☆城 閣彌城 牟盧城 彌沙城 古舍蔦城 阿旦城 古利城 ☆利城 雜濔城 奧利城 勾☆城 古模耶羅城 須鄒城 ☆☆城 ☆而耶羅城) 瑑城 於利城 ☆☆城 豆奴城 農賣城 沸城 比利城 彌鄒城 也..

카테고리 없음 2021.03.13

윤여동설 – 임나(任那) 종발성(從拔城)의 위치와 호태왕비문 영락10년(A.D.400) 조의 이해 - 최초공개

윤여동설 – 임나(任那) 종발성(從拔城)의 위치와 호태왕비문 영락10년(A.D.400) 조의 이해 - 최초공개 위 그림과 아래의 호태왕비문 영락9년(A.D.399)조, 영락10년(A.D.400)조 그리고 영락14년(A.D,400)조를 비교하여 보면, 고구려 평양성의 위치와 신라, 가야, 백제, 왜국, 대방 그리고 임나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필자가 왜 임나(任那)가 한반도 남쪽이 아닌 하북성 진황도시 부근에 위치했으며, 임나(任那) 종발성(從拔城)의 위치가 지금의 하북성 진황도 산해관고성(山海關古城) 부근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될 것이다. 영락 9년(A.D.399) 기해년 조 [쟁점 : 고구려 평양,하평양,신라,백잔(대륙백제),임나,왜국의 위치] 九年 己亥 百殘違誓 與倭和通 영락 9년 기해년에 백잔..

카테고리 없음 2021.02.14

윤여동설 – 주몽은 동부여(東扶餘)에서 도망쳐 어느 길을 따라 졸본(卒本)으로 왔으며, 처음 자리 잡은 비류수(沸流水) 중류는 지금의 어디일까?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주몽은 동부여(東扶餘)에서 도망쳐 어느 길을 따라 졸본(卒本)으로 왔으며, 처음 자리 잡은 비류수(沸流水) 중류는 지금의 어디일까? - 최초주장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를 보면, ......(동부여의)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또 주몽을 죽이려고 꾀하니, 주몽의 어머니가 그 음모를 알고는 주몽에게 말하기를, “나라 사람들이 장차 너를 해하려 하니, 너의 재주와 지략을 가지고 어디를 간들 어떠하겠느냐? 여기에서 머뭇거리다가 욕을 당하기보다는 차라리 멀리 가서 큰일을 도모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주몽은 오이(烏伊), 마리(摩離), 협보(陜父) 등 세 사람과 더불어 벗을 삼아 엄호수[일명 개사수(盖斯水)라고도 하는데, 지금 압록(鴨綠) 동북쪽에 있다]까지 가서 물을 건너려 하였으나 다..

카테고리 없음 2020.11.21

윤여동설 - 신라 석씨왕들의 능원 금성 북쪽 양정구(壤井丘)의 위치 - 최초공개

윤여동설 - 신라 석씨왕들의 능원 금성 북쪽 양정구(壤井丘)의 위치 - 최초공개      삼국사기에는 석씨로서는 처음 신라 왕위에 올랐던 탈해이사금(탈해왕)의 능을 양정구(壤井丘)에 조성했다고 기록되어 있을 뿐 그 후의 석씨왕들의 왕릉 조성위치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그리하여 필자는 탈해왕 이후의 석씨왕릉들도 모두 이 양정구에 조성했기 때문에 능의 조성위치를 굳이 또 언급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위 : 양정구(壤井丘) 확대]  양정구(壤井丘)                :        4대 탈해이사금릉(양정구 : 양정언덕)(신라 석씨왕들의 능원)             9대 벌휴이사금릉(기록없음)                                       ..

카테고리 없음 2020.04.25

윤여동설 - 강화의 옛 이름 갑비고차(甲比古次)는 무슨 의미일까?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강화의 옛 이름 갑비고차(甲比古次)는 무슨 의미일까? - 최초주장 신증동국여지승람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 조를 보면, "본래 고구려 혈구군(穴口郡)이다.[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도 부른다] 신라 경덕왕이 해구(海口)라고 개칭했고, 원성왕이 혈구진(穴口鎭)을 설치했다.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꿔 (강화)현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한반도의 강화도에 관한 연혁으로 생각하겠지만, 사실 이 기록은 한반도 강화도의 연혁이 아니라, 지금 북경 동쪽 난하 대흑정수고 동쪽에 위치한 하북성 천서현의 청산관(靑山關) 부근에 대한 연혁이다. 그리고 고조선 때의 갑비고차(甲比古次)를 고구려 때 왜 혈구(穴口)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 갑비고차라는 뜻이 ..

카테고리 없음 2019.11.23

윤여동설 - 고려의 도읍 개경 송악산에 나타나는 어린아이 형상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려의 도읍 개경 송악산에 나타나는 어린아이 형상 - 최초공개 [고려의 도읍 개경으로 비정되는 하북성 관성현과 그 북쪽의 송악] [개경 북쪽 송악산에 나타나는 어른(엄마?)과 무릎에 앉은 것처럼 보이는 어린아이 형상] 신증동국여지승람 개성부 상 산천 조를 보면, “송악(松嶽: 송악산)”이 개성부의 북쪽 5리에 있는데, 처음 이름은 부소(扶蘇: 부소산) 또는 곡령(鵠嶺)이라 하였다. 신라의 감간 팔원이 풍수에 능하였는데, 부소군에 이르러 살펴보니 산의 형승에서 어린아이(童)가 나타나므로(新羅監干八元善風水到扶蘇郡見山形勝而童) 강충(필자주 : 고려 태조 왕건의 선조)에게 말하기를 ‘만약 군(郡)을 산 남쪽으로 옮기고 소나무를 심어 암석이 드러나지 않게 하면 삼한을 통합할 인물이 출현할 것이다’ 하..

카테고리 없음 2019.11.02

윤여동설 - 고조선(왕검조선)의 도읍 왕검성(王儉城)의 위치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조선(왕검조선)의 도읍 왕검성(王儉城)의 위치 - 최초주장 [옛 고조선(왕검조선)의 왕검성 터에 세운 청나라의 열하행궁(피서산장)] 규원사화(揆園史話)를 보면, “여러 고을 땅의 길흉을 판단하여 도읍을 태백산 동남쪽(필자주 : 원문은 서남쪽인데 필자가 고쳤다. 왕검성과 아사달의 위치를 헷갈려 기록한 듯하다) 우수하벌판에 정하고 임검성(필자주 : 첫도읍 아사달의 오기이다)이라고 했다..................... 우수하가에 산지 10년에 도읍을 백산(白山 : 태백산)의 남쪽, 패수(浿水)의 북쪽으로 옮기니 이곳이 평양(平壤)이며 제2의 임검성(필자주 : 두번째 도읍 왕검성을 말하는 것이다)이다. 지금의 속말 땅은 기후가 춥고 토질이 나빠서 들이 넓기는 하나 농사짓기가 남쪽보다 좋지 않..

카테고리 없음 2019.01.27

윤여동설 - 임나(任那)는 있었다 지금의 중국 하북성 진황도에......- 최초주장

윤여동설 - 임나(任那)는 있었다 지금의 중국 하북성 진황도에......- 최초주장 임나(任那)가 있었다 없었다, 임나(任那)가 한반도 남부에 있었다, 아니다 대마도에 있었다, 아니다 큐우슈우에 있었다 등등 임나에 대하여 논란들이 아주 많다. 그런데 필자는 임나(任那)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느냐를 찾기에 앞서 먼저 고대 왜국이 과연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는지, 우리 신라, 백제, 고구려, 가야가 과연 어디에 위치했었는지를 먼저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임나는 가야의 일원이었고, 백제와 가까이 접하고 있었으며, 고구려 광개토왕이 임나의 종발성을 공격한 기록이 호태왕비문에 전하기 때문이다. [필자주 : 삼국사기 강수열전에도 강수 스스로 자신이 임나가량(任那加良) 사람이라 하였고, 진경대사탑비문에도 "..

카테고리 없음 2017.08.12

윤여동설 - 백제 5백리장성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 5백리장성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각 장성(長城)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한반도에서 장성의 흔적은 어느 한곳도 발견되지 않고 있고, 후대인 고려시대에도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 역시 한반도에서는 장성의 흔적도 찾지 못하고 있다. 왜 한반도에서는 역사서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장성의 흔적들을 찾을 수 없는 것일까? 백제 16대 진사왕 2년(A.D.386) 조를 보면, "봄 국내의 15세 이상 되는 사람들을 징발하여 관방을 설치했는데, 그 길이가 청목령으로부터 북쪽으로 팔곤성에 닿고, 서쪽으로 바다까지 이르렀다"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삼국사기 기록 자체가 한반도의 반도백제에 관한 기록이 아니라 패수였던 지금의 난하를 중심으로..

카테고리 없음 2017.06.09

윤여동설 - 백제의 초기도읍 위례성(慰禮城)과 남한성(南漢城) 그리고 한산 부아악(負兒嶽) 찾기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의 초기도읍 위례성(慰禮城)과 남한성(南漢城) 그리고 한산 부아악(負兒嶽) 찾기 - 최초주장       [어머니가 어린아이를 업고 있는 것 같은 형상이므로 부아악(負兒嶽)이라 부르게 되었을 것이다]   삼국유사 왕력 백제시조 온조왕 조를 보면,   “계묘년에 즉위 재위 45년간 위례성(慰禮城)에 도읍 혹은 사천(蛇川)이라고도 함 지금의 직산(稷山) 병진년에 한산(漢山)으로 도읍을 옮김 지금의 광주(廣州)”라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 권제37 잡지 제6 지리를 보면,   삼국시대의 지명만 전하고, 그 위치가 분명치 않다고 기록되어 있는 356곳 중에 “위례성(慰禮城)”이 들어 있다.  이를 보면 김부식이 1145년에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에도 이미 백제의 초기도읍 위례성의 정확한 위치는 ..

카테고리 없음 2017.05.19

윤여동설 - 마고할미 전설의 발상지를 찾았다 - 최초공개

윤여동설 - 마고할미 전설의 발상지를 찾았다 - 최초공개 [노파의 얼굴 형상을 하고 있는 난하 대흑정수고 동쪽의 지세] 규원사화 단군기를 보면, “단군이 이미 제후를 봉한 후 천하가 밝아지고 고요하더니 10년 만에 남이의 환란이 일어났다. 갑비고차(甲比古次)는 이미 남이(南夷)인의 땅이었다. 그리하여 부여(夫餘)를 보내 군사를 거느리고 평정하게 하였다. 후에 부소(夫蘇)와 부우(夫虞)를 더 보내 갑비고차에 성을 쌓게 하고 남쪽으로 내려와서 지키게 하였다. 이곳이 지금 강화도의 삼랑성(三郞城)이다. 마리산(摩利山)에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으니 이것이 곧 단군이 단을 만들고 하늘에 제사지내던 두악(頭嶽)이다....... 단군이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은 북쪽으로 사냥가면 태백산(太白山)이었고, 남쪽으로 가면 두..

카테고리 없음 2016.12.10

윤여동설 - 백제의 관미성(關彌城)은 지금의 하북성 청산관 부근 - 최초공개

윤여동설 - 백제의 관미성(關彌城)은 지금의 하북성 청산관 부근 - 최초공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광개토왕 원년조를 보면, “10월 백제의 관미성을 쳐서 함락시켰다. 그 성은 사면이 절벽이고(四面峭絶), 해수로 둘러져 있어(海水環繞) 왕이 군사를 일곱 길로 나누어 공격한 지 20일 만에야 함락시킬 수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는 그 관미성을 찾지 못하고 여기다 저기다 하면서 주장들만 분분했었는데, 필자가 드디어 관미성을 찾은 듯하다. 그런데 새로 찾은 관미성의 위치를 놓고 생각해보면, 왜 백제 아신왕이 왕위에 오르자마자 고구려에 빼앗긴 이 관미성을 되찾으려 했는지 충분히 이해가 된다. 왜냐하면 관미성으로부터 당시 백제의 도읍인 한성까지는 군사들이 하루정도면 행군할 수 있는 1백여리에..

카테고리 없음 2016.11.25

윤여동설 - 후삼국의 진짜 위치 - 최초공개

윤여동설 - 후삼국의 진짜 위치 - 최초공개     고대의 요동군(요 동경요양부, 금 동경요양부)은 지금의 북경 일원을 말하는 것이고,   신라의 천년도읍 서라벌(금성)은 지금의 요녕성 금주시(錦州市)였고,   고려의 도읍 개경(송악)은 지금의 하북성 관성(寬城)만족자치현이었으며,   후백제의 도읍 전주(완산)는 지금의 하북성 당산(唐山)이었다. ☆ 전주이씨(완산이씨)들의 원래 고향(본관)은 한반도의 전북 전주가 아니라 지금의 중국 하북성 당산이었다.    고조선은 한반도에 없었고,  삼한인 마한, 진한, 변한도 한반도에 없었으며,   삼국사기 기록 속 고구려, 백제(대륙백제), 신라, 가야 역시 한반도에 없었다.  따라서 후삼국인 고려, 후백제, 후기신라는 한반도에 위치하지 않았고,   발해북쪽 지금의..

카테고리 없음 2016.11.23

윤여동설 - 우리 고대사의 의문을 밝혀 줄 윤여동의 난하중심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우리 고대사의 의문을 밝혀 줄 윤여동의 난하중심설 - 최초주장 우리 고대사가 실제 이루어진 곳이 어디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모범답안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 말은 우리 고대 역사의 현장에 관한 한 아직 정설이 없고 가설만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가설이란 아직 검증되지 않은 개인의 의견이라 정의할 수 있으므로 우리 고대사가 이루어진 역사의 현장은 아직 정확히 찾지 못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지금 우리 고대사의 현장이 과연 어디인가라는 질문에는 현격하게 다른 상반된 두 주장이 존재한다. 첫째는 한반도를 우리 역사의 중심지로 보고 해석하는 한반도중심설이 있고, 둘째는 발해 서북쪽 중국 하북성 난하를 중심으로 하는 그 부근 지역을 우리 고대사의 중심 강역으로 보는 난하중심설(윤여동설)이 있다. 한반..

카테고리 없음 2008.12.19

윤여동설 - 위만조선의 도읍은 지금의 중국 하북성 승덕시 부근 - 최초공개

윤여동설 - 위만조선의 도읍은 지금의 중국 하북성 승덕시 피서산장(열하행궁) - 최초공개 원봉 2년(B.C.109) 한나라는 섭하를 보내어 (조선의) 우거를 회유하였으나 끝까지 수긍하지 않고, 조서를 받들지 않았다. 섭하는 돌아올 때 국경인 패수(필자 주 : 이때 한나라와 위만조선의 국경이 패수일 수는 없고 살수이어야 맞다. 만약 패수일 경우 패수 동쪽에 바로 위만조선의 도읍 왕검성이 위치했었다는 말이 된다. 사실이 이러했다면 위만조선은 도읍을 동쪽으로 멀리 옮기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인데, 위만조선은 멸망할 때까지 왕검성에 도읍하고 있었다)에 이르자 사람을 시켜 전송나온 조선의 비왕장을 죽이고 즉시 강을 건너 요새로 돌아와서 천자에게 조선의 장수를 죽였다고 보고하였다. 천자는 그것을 잘한 것으로 여겨 나..

카테고리 없음 2008.12.05

윤여동설 - 위만조선은 중국 하북성 난하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나라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위만조선은 중국 하북성 난하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나라 - 최초주장 우리는 싫든 좋든 위만조선의 역사를 알아야만 한다. 그것은 위만조선의 역사가 우리 역사의 한 장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고, 특히 위만조선이 멸망하고 한사군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위만조선의과 한사군을 빼버리고는 우리 고대사 역사의 현장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로 그 위만조선이 과연 어디에 위치했던 나라였는지, 한사군이 어디에 설치되었었는지 지금까지도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니 매우 난감한 일이다. 역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역사의 현장이 어디였는지를 찾는 일인데, 고조선, 위만조선으로 이어진 그 역사의 현장이 어디인지를 확실히 알지 못하고 있으니 우리의 역사연구는 시작부터 장벽에 가로막혀 있는..

카테고리 없음 2008.12.01

윤여동설 - 백제 역사의 미스테리가 풀렸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 역사의 미스테리가 풀렸다 - 최초주장       지금까지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백제는 매우 미스테리한 나라였다.   왜냐하면 백제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면 할수록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같은 기록들에 부딪치기 때문이었다.  ☆ 옛 사서의 백제 관련 기록들을 모두 한반도에 비정하여 해석하려했기 때문에 미스테리하게 느껴졌을 것인데, 사실 백제는 한반도에서 건국된 나라가 아니었다.   삼국사기에는 백제의 동쪽에 (신라가 있고,서쪽에) 낙랑이 있으며, 북쪽에 말갈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기도 하고, 신라의 서쪽에 백제가 위치했다고도 기록되어 있고, 신라의 남쪽에는 가야가 있다고도 했고, 마한의 동북쪽에 백제가 위치하고 있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중국 사서들은 백제가 요동 동쪽 1천여 ..

카테고리 없음 2008.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