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대륙고려 27

윤여동설 – 고려도경(高麗圖經) 속 송나라 서긍일행의 고려행 항해로를 밝힌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려도경(高麗圖經) 속 송나라 서긍일행의 고려행 항해로를 밝힌다 - 최초주장     지금 많은 사람들은 송나라의 서긍이 1123년에 사신단의 일원으로 고려를 다녀간 후 그림과 글로 써서 송 휘종에게 보고했다는 고려도경(高麗圖經)을 보고, 이때 서긍이 명주 정해현 즉 지금의 절강성 영파(寧波)를 출발하여 황해(서해)를 가로 질러 건너 동북쪽 방향에 위치한 한반도 개성을 향하여 항해하여 왔다가 돌아간 것으로 해석하는데, 필자는 이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당시 고려는 한반도에 위치했던 나라가 아니라 등주, 래주, 빈주, 체주와 마주보는 위치인 지금의 발해 북쪽에 위치한 나라였고, 고려로부터 그 이전 우리 선조들이 살았던 땅도 한반도가 아니라..

카테고리 없음 2021.07.17

윤여동설 –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의 현장 위화도(威化島)의 진짜위치를 찾았다 – 최초공개

윤여동설 –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의 현장 위화도(威化島)의 진짜위치를 찾았다 – 최초공개 [위 : 북경시 회유구] [위 : 위화도 태조봉(太祖峰) 추정지 : 지금의 북경 회유구 대라산(大羅山, 해발 약95m) 좌표 동경116도44분03초 북위40도18분04초] 신증동국여지승람 권지53 평안도 의주목(義州牧) 산천(山川) 조를 보면, “어적도(於赤島)는 난자도(蘭子島)의 북쪽에 있는데, 둘레가 17리이다. 그 땅이 평평하고 넓어서 밭 60여경(頃)을 일구었다. 검동도(黔同島)는 의주(義州)에서 서쪽으로 15리 떨어져 있는데, 둘레가 15리이다. 압록강이 여기에 이르러서 3갈래로 나누어지는데, 이 섬이 두 섬사이에 있으며, 삼씨량(三氏梁)이 있다. 모든 강을 건너는 사람들이 반드시 이 섬의 북쪽을 지나는데..

카테고리 없음 2021.02.06

윤여동설 – 개경 선죽교(善竹橋)는 좌견리(坐犬里) 북쪽에 위치했었다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개경 선죽교(善竹橋)는 좌견리(坐犬里) 북쪽에 위치했었다 - 최초공개 [개가 앉아 있는 형상 확대 : 하북성 관성현 폭하 남쪽] 신증동국여지승람 개성부 상 교량 조를 보면 “선죽교(善竹橋)는 좌견리(坐犬里) 북쪽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형이 마치 개가 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으므로 동네 이름을 좌견리(坐犬里)라고 불렀을 것이고, 그 좌견리의 북쪽에 선죽교가 놓여 있었다는 것이다. 위 그림은 필자가 하북성 승덕시 관성현(관성만족자치현)에서 찾아낸 “개가 앉아 있는 형상의 지형”이고, 이곳 관성현(寬城縣)은 필자가 일찍이 고려의 도읍 개경(開京)으로 비정한 곳이다. 따라서 진짜 선죽교(善竹橋)는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 관성현을 지나는 폭하(瀑河)를 건너는 다리였던 것이다. [하북성 승덕시 관..

카테고리 없음 2020.07.11

윤여동설 - 바로 잡아야 할 착각(錯覺)의 한반도 역사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바로 잡아야 할 착각(錯覺)의 한반도 역사 - 최초주장  [흉노족들이 남겨 놓은 경주 석굴암을 지금 우리는 신라 김대성이 만든 작품으로 이해한다]  [흉노족들이 세운 절인데, 지금 우리는 신라 김대성이 세운 불국사라 한다]  [흉노족 왕의 시신을 육탈시키기 위해 만들어 놓은 건축물인데, 이를 천문을 관측하던 신라의 첨성대라 한다]    [흉노인들이 유상곡수(流觴曲水)를 하며 놀던 곳을 우리는 지금 신라인들이 시를 읊으며 놀던 포석정이라 한다]   [흉노족왕릉에 세워진 능비를 지금 우리는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능비라 한다]        [흉노족왕들이 쓰던 왕관을 지금 우리는 신라의 왕들이 쓰던 왕관이라 한다]    사실 한반도에 환국(桓國)은 없었고, 환웅의 단국과 신시(神市)도 없었으며,..

카테고리 없음 2020.01.01

윤여동설 - 고구려 천리장성과 고려 천리장성의 위치비교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구려 천리장성과 고려 천리장성의 위치비교 - 최초공개 고구려 천리장성 구당서 고구려전 정관5년(A.D.631) 조를 보면, "건무(영류왕의 이름)는 그 나라가 침입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장성을 쌓았는데, 동북쪽 부여성으로부터 서남쪽 바다에 이르기까지 1천여 리였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또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영류왕 14년(A.D.631) 조를 보면, "봄2월 왕이 백성들을 동원하여 장성을 쌓았는데, 그 성이 동북쪽은 부여성으로부터 동남쪽(필자주 : 서남쪽의 오기이다)으로 바다(해)까지 닿았는데 무려 16년 만에 준공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이때 고구려가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위 : 내몽골 오란찰포 서남쪽 대해(岱海) 부근의 장성흔적 : 고구려 천리장성의 서남쪽 끝 부분으..

카테고리 없음 2019.06.28

윤여동설 - 고려와 조선의 지방별 별칭의 위치는 대륙과 한반도로 서로 다른 곳이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려와 조선의 지방별 별칭의 위치는 대륙과 한반도로 서로 다른 곳이다 - 최초주장 [관동, 관서, 관북은 철령관을 중심으로 나누었고, 영동, 영서, 영남은 죽령을 중심으로 나누었다] 우리는 지금 한반도를 지방별로 나누어 부를 때 관동(關東), 관서(關西), 관북(關北), 해서(海西), 호서(湖西), 호남(湖南), 영동(嶺東), 영서(嶺西), 영남(嶺南)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기예보 등을 할 때 그러한 말을 특히 많이 사용하는데, 대체적으로 강원도를 관동이라 하고, 평안도를 관서라 하며, 함경도를 관북이라 한다. 그리고 황해도를 해서라 하며, 충청도를 호서라 하고, 전라도를 호남이라 한다. 또한 강원도 남부와 경상도는 영동, 영서, 영남으로 나누어 부른다. 그런데 이는 지금 우리가 ..

카테고리 없음 2018.09.02

윤여동설 - 여진(말갈) 동쪽의 대해(大海) 찾기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여진(말갈) 동쪽의 대해(大海) 찾기 - 최초주장 [여진(말갈) 동쪽 대해 흔적] 고려의 윤관장군이 여진(숙신,읍루,물길,말갈)을 정벌하고 그 땅을 빼앗아 아홉 개의 성을 쌓았는데, 우리는 지금 그를 "고려 동북9성"이라 한다. 그리고 이때 공험진의 선춘령(先春嶺)에 정계비를 세웠는데, 그 비석에 "高麗之境(고려지경)"이라고 새겼다고 한다. 그런데 고려사를 보면 이때 윤관장군이 여진으로부터 빼앗은 지역이, “동쪽으로는 대해(大海)에 닿았고, 서북방으로는 개마산을 끼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장주와 정주 두 고을에 닿았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지금 한반도에 살고 있고, 고려의 도읍 개경을 황해도 개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고려의 동북쪽을 두만강 방향이라 생각할 수밖에 없고, 여진이 연해..

카테고리 없음 2018.04.06

윤여동설 - 고려말 8도와 이성계의 권력기반 동북면(東北面)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려말 8도와 이성계의 권력기반 동북면(東北面)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이성계는 1361년 10월에 독로강만호 박의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고려 공민왕의 신임을 얻기 시작했고, 홍건적의 침입 때는 사병 2천을 이끌고 개경 수복작전에 참여하여 개경에 맨 먼저 입성하는 공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고려가 1258년 원나라에게 빼앗겼다가 1356년 99년 만에 탈환한 쌍성총관부를 1362년 2월에 이르러 원나라가 재탈환하기 위하여 여진장수 나하추로 하여금 수만 명의 군사를 동원하여 고려를 침입하자 공민왕은 동북면 도지휘사로 하여금 그를 막게 했으나 계속 패배하자, 7월에 이성계를 동북면 병마사로 임명하여 나하추를 막게 했다. 그러자 이성계는 나하추가 이끄는 침공군을 전멸시켰고 나하추는 겨우 목숨을 건져..

카테고리 없음 2017.12.17

윤여동설 - 거란지리지도(契丹地理之圖)와 추리도(墜理圖) 속 고구려, 백제, 신라 표기의 진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거란지리지도(契丹地理之圖)와 추리도(墜理圖) 속 고구려, 백제, 신라 표기의 진실 - 최초주장 거란지리지도에 표기되어 있는“고려백제신라계(高麗百濟新羅界)"의 진짜 의미 - 최초주장 위 거란지리지도를 보고 재야 역사연구자들은 우리의 대륙사를 밝혀줄 왜곡되지 않은 보물같은 지도라고 반색하는 반면 강단사학자들은 말도 안되는 잘못 그려진 엉터리 지도라 폄훼한다. 그런데 진실은 하나 뿐일 것이다. 재야 역사연구자들이 틀렸거나 강단사학자들이 틀렸거나 둘 중의 하나만이 옳다는 말이 되는데, 필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실제 지금의 북경(필자 주 : 북경 부근이 옛 요동이었고, 요나라, 금나라 때의 동경요양부였다)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지도가 그려졌고, 그리하여 그곳에 “고려백제신라계..

카테고리 없음 2017.11.23

윤여동설 - 고려의 천리장성, 쌍성총관부, 동녕부의 진짜위치 공개(종합)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려의 천리장성, 쌍성총관부, 동녕부의 진짜위치 공개(종합) - 최초공개 ○ 천리장성 : 고려 덕종 2년인 서기 1033년에 거란과 여진의 침공을 막기 위하여 압록강 하류로부터 동쪽(필자주 : 사실은 동북쪽방향임)으로 바다까지 천리장성 축성. 고려사절요 덕종 경강대왕 2년(계유년, 서기 1033년) 8월 조를 보면, “평장사 류소에게 명하여 북쪽 경계에 관방을 새로 설치하게 하였는데, 서해 바닷가의 옛 국내성 경계인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서부터 쌓기 시작하여(起自西海濱古國內城界鴨綠江入海處) 동쪽으로 위원, 흥화, 정주, 영해, 영덕, 영삭, 운주, 안수, 청새, 평로, 영원, 정융, 맹주, 삭주 등 13성을 거쳐 요덕, 정변, 화주 등 3성에 대어 동쪽으로 바다에 이르니 길이가 1천여..

카테고리 없음 2017.09.29

윤여동설 - 고려(高麗) 천리장성(千里長城)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려 천리장성의 진짜위치 - 최초주장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각 장성(長城)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한반도에서 장성의 흔적은 어느 한곳도 발견되지 않고 있고, 후대인 고려시대에도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 역시 한반도에서는 장성의 흔적도 찾지 못하고 있다. 왜 한반도에서는 역사서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장성의 흔적들을 찾을 수 없는 것일까? [고려 천리장성 성벽흔적] 고려가 덕종2년인 서기 1033년에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을 보면, "서해 바닷가의 옛 국내성과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의 중간지역으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 위원(威遠), 흥화(興化), 정주(靜州), 영해(寧海), 영덕(寧德), 영삭(寧朔), 운주(雲州), 안수(安水), 청새(淸塞),..

카테고리 없음 2017.06.25

윤여동설 - 고대의 왜국(倭國)은 지금의 요동반도에 위치했었고, 임나가라(任那加羅, 임나국)는 진황도 부근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대의 왜국(倭國)은 지금의 요동반도에 위치했었고, 임나가라(任那加羅, 임나국)는 진황도 부근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고대의 왜국은 지금의 요동반도에 위치하고 있었고, 우리의 삼국 즉 고구려는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 일부, 장가구시 일부, 북경시 일부, 산서성 일부, 내몽골 일부를 차지하고 있었고, 백제는 하북성 당산시, 진황도시, 승덕시 일부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신라는 요녕성 금주시(錦州市), 조양, 부신 일원을 차지하고 있었고, 가야는 요녕성 호로도, 흥성, 수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우리의 고대 역사를 한반도를 중심으로 해석함으로써 임나(임나국)도 한반도 남부에 위치했었다고 해석한다. 이는 우리가 지금 한반도에 살고 있고, 일본이 지금의 일본열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

카테고리 없음 2017.02.04

윤여동설 - 한반도 강화(江華)는 고대의 혈구(穴口)가 아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한반도 강화(江華)는 고대의 혈구(穴口)가 아니다 - 최초주장 규원사화 단군기를 보면, “단군이 제후를 봉한 후 천하가 밝아지고 고요하더니 10년 만에 남이(南夷)의 반란이 일어났다. 갑비고차(甲比古次)는 이미 남이인의 땅이었다. 그리하여 부여(夫餘)를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평정하였다. 후에 부소(夫蘇)와 부우(夫虞)를 더 보내어 갑비고차에 성을 쌓게 하고, 남쪽으로 내려와서 지키게 하였다. 이곳이 지금 강화도의 삼랑성(三郞城)이다. 마리산(摩利山)에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으니 이것이 곧 단군이 단을 만들고 하늘에 제사지내던 두악(頭嶽)이다...... 단군이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은 북쪽으로 사냥가면 태백산(太白山)이었고, 남쪽으로 가면 두악(頭嶽)이었다. 갑비고차는 바닷가에 있어 배를 타고..

카테고리 없음 2016.08.21

윤여동설 - 불함산(태백산,백두산,장백산)의 원래 위치 찾기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불함산(태백산,백두산,장백산)의 원래 위치 찾기 - 최초주장 우리 역사의 중심산은 불함산(태백산,백두산,장백산)이었다. 산해경의 대황북경에 "大荒之中 有山 名曰不咸 有肅愼氏之國(대황 가운데 산이 있는데 이름하여 불함이다. 숙신씨의 나라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불함산(不咸山)이 바로 그 산인데, 후일에 이르면 한민족은 그 산을 백산(白山), 태백산(太白山), 백두산(白頭山)이라고 부르게 되고 여진족들은 도태산(徒太山), 장백산(長白山)이라고도 부르게 된다. 따라서 태백산이나 도태산, 백두산이나 장백산은 우리 한민족과 여진족의 공통의 성산이었다. 그러다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 도읍을 대륙의 개경에서 한반도의 한양으로 옮기게 되자 백두산(장백산)도 한반도로 옮겨오게 되는데, 우리..

카테고리 없음 2015.07.11

윤여동설 - 금 6경과 고려의 위치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금 6경과 고려의 위치 - 최초공개     발해(대진국)가 926년에 거란(요)에게 멸망한 지 189년이 지난 1115년에 이르러 다시 여진족 완안 아골타가 여진을 통합하고 나라를 세워 옛 발해의 상경용천부에 도읍하고 회령[會寧 : 지금의 내몽골 파림좌기 부근으로 비정된다]이라 하고, 국호를 금(金)이라 하게 된다.    그리고는 1125년에 서남쪽의 요나라를 멸망시킨 후,  건국지인 회령을 상경회령부[옛 발해의 상경용천부인 파림좌기이다]라 하고,   요나라 때의 중경대정부를 북경대정부[지금의 화초영진 부근으로 비정된다]라 하고,   요나라 때의 남경석진부는 중도대흥부[하북성 역현 부근으로 비정된다]라 하고,   요나라 때의 서경대동부는 그대로 서경대동부[산서성 대동이다]라 하고,   요나라..

카테고리 없음 2015.05.17

윤여동설 - 신라 천주(泉州)는 지금의 요녕성 수중(綏中) 부근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신라 천주(泉州)는 지금의 요녕성 수중(綏中) 부근 - 최초주장 삼국사기 신라본기 54대 경명왕 8년(A.D.924) 조를 보면, “정월에 사신을 후당(後唐)에 보내 조공하였는데, 천주절도사(泉州節度使) 왕봉규(王逢規)도 후당(後唐)에 사신을 보내어 토산물을 바쳤다” 라고 기록되어 있고, 55대 경애왕 4년(A.D.927) 조를 보면, “3월 후당(後唐) 명종이 권지강주사(權知康州事) 왕봉규(王逢規)를 회화대장군(懷化大將軍)으로 삼았다. 4월 지강주사(知康州事 : 權知康州事의 오기인듯) 왕봉규가 임언을 사신으로 후당에 보내 조공을 바치니 명종이 중흥전에서 불러보고 물건을 하사하였다. 강주(康州)소관의 돌산(突山) 등 4개 고을이 태조(고려태조 왕건)에게로 귀순하였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천주..

카테고리 없음 2012.01.28

윤여동설 - 고려는 “철령(鐵嶺)” 때문에 망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려는 “철령(鐵嶺)” 때문에 망했다 - 최초주장       고려가 “철령(鐵嶺)” 때문에 망했다고?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      명사 조선전 홍무19년(A.D.1386) 12월 조를 보면,  “(명 태조 주원장이) 호부에 명하여 고려왕에게 말하기를   “철령 북쪽, 동쪽, 서쪽의 땅은 옛날부터 개원(開元:원나라 때의 개원로를 말함)에 속하였으니 요동(遼東)에서 통치하도록 하고, 철령(鐵嶺) 이남은 옛날부터 고려에 속하였으니 고려에서 통치하도록 하시오. 그리하여 서로 국경을 침범하는 일이 없도록 하시오”   하였다.[필자주 : 이는 관북, 관서지역을 명나라가 차지하겠다는 말이다]   그러자 고려에서는 홍무21년(A.D.1388) 4월에 표문을 보내 철령 이북 공험진(필자주 : 고..

카테고리 없음 2011.11.11

윤여동설 - 정감록에서 800년 도읍지로 지목한 계룡산은 한반도 충남 계룡산을 말하는게 아니다

윤여동설 - 정감록에서 800년 도읍지로 지목한 계룡산은 한반도 충남 계룡산을 말하는게 아니다 [위 : 정감록에서 새로운 800년 도읍지로 지목한 대륙 계룡산과 그 남쪽 평원] [위 : 한반도 계룡산 남쪽 신도안. 나라의 도읍이 들어설 만한 평지 공간이 없는 산악지역이다] 정감록은 한민족의 미래를 예언하고 있다는 예언서인데, 한양 도읍기가 지나면 계룡산 남쪽에 새로운 800년 도읍지가 건설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 정감록에는 또 계룡산 800년 도읍기가 지나면 가야산 1,000년, 전주 600년, 그 후 다시 송악이 도읍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리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새로운 800년 도읍지는 한반도 계룡산 남쪽에 건설될 것이라고 정감록을 해석했다. 어떤 사람은 신도안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 지금의 충남..

카테고리 없음 2010.11.08

윤여동설 - 북송의 휘종과 흠종이 잡혀와 살다 죽은 태백산(장백산) 동쪽 오국성(五國城)의 진짜 위치 - 최초공개

윤여동설 - 북송의 휘종과 흠종이 포로로 잡혀와 살다 죽은 태백산(장백산) 동쪽 오국성(五國城)의 진짜 위치 - 최초공개 북송의 휘종과 흠종은 1126년 도읍인 개봉을 함락당하고 포로로 잡혀 금나라로 끌려가 억류생활을 하다가 죽은 비운의 황제들이다. 나라를 망쳤으니 그것은 어쩌면 당연한 죄과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인데, 역사에서는 이를 정강의 변이라 부른다. 이때 금나라는 북송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황후, 황태자, 친왕, 공주, 황족 등 무려 3,000여 명을 포로로 잡아 이들을 북쪽으로 끌고 와 태백산(장백산) 동쪽 오국성(五國城)에 억류하고는, 휘종에게는 중혼후(重昏候), 흠종에게는 혼덕공(昏德公)이라는 모멸적인 칭호를 붙이는데, 그들은 그곳에서 포로생활을 하다가 죽게 된다. 금나라는 후일 휘종이 죽은..

카테고리 없음 201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