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카테고리 없음

윤여동설 - 신라 김씨왕들은 정말 흉노족 김일제의 후예들일까? - 최초주장

윤여동 2009. 4. 23. 23:07

윤여동설 - 신라 김씨왕들은 정말 흉노족 김일제의 후예들일까? - 최초주장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이사금 9년(A.D.65) 조를 보면,
  "봄3월 밤에 금성 서쪽 시림 숲 속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리자 왕이 날이 새자마자 호공을 보내어 둘러보게 하였더니, 호공이 돌아와 나무 가지에 조그마한 금괴가 걸려 있고 하얀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왕이 사람을 시켜 그 궤를 가져와 열었더니 그 속에 어린 사내아이가 들어 있었는데, 용모가 기이하고 위품이 있었다.
  왕이 기뻐하며 좌우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나에게 자식을 주시는 것이 아니겠는가?'하고는 거두어 길렀다.
  그가 자라니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으므로 이름을 알지(閼智)라 하고, 금궤에서 나왔으므로 성을 김(金)씨로 하였다." 라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사 김알지 조를 보면,
  "영평 3년 경신(A.D.60) 8월 4일에 호공이 밤에 월성 서쪽 동네를 걸어가는데, 크고 밝은 빛이 시림(구림이라고도 한다) 속에서 빛나고 있었다. 
  자줏빛 구름이 하늘로부터 땅에 뻗쳤는데, 그 구름 속에 황금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그 빛은 궤 속에서 나오고 있었다. 또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이를 호공이 왕에게 아뢰자 왕이 그 숲에 가서 궤를 열어보니 남자아이가 있었는데, 누웠다가 곧 일어났다. 이것이 마치 혁거세의 고사와도 같았으므로 그를 따라 그 아이를 알지라고 이름지었다. 알지란 곧 우리말로 어린 아이라는 뜻이다.
  그 아이를 안고 대궐로 돌아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르면서 기뻐하고, 뛰고 춤을 추었다.
  왕은 길일을 가려 그를 태자로 책봉했다.
  그는 뒤에 태자의 자리를 파사왕에게 물려주고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에서 나왔다하여 성을 김(金)씨라 하였다.
  알지는 열한(세한)을 낳고, 열한(세한)은 아도를 낳고, 아도는 수류를 낳고 수류는 욱부를 낳고, 욱부는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으니 미추가 왕위에 올랐다. 
  신라의 김씨는 알지로부터 시작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또 삼국사기 신라본기 미추이사금 조에도,

  "그의 조상 알지가 계림에서 나왔는데, 탈해왕이 이를 얻어 궁중에서 길러 뒤에 대보로 임명했다.   알지가 세한을 낳고 세한이 아도를 낳고, 아도가 수류를 낳고, 수류가 욱보를 낳고, 욱보가 구도를 낳으니 구도가 곧 미추의 아버지이다.   점해가 아들이 없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세우니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가진 시초였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지금까지 알지를 사생아 정도로 이해할 수밖에 없었다.
  즉 신라 왕실 또는 신라귀족의 딸이 말못할 사연으로 임신되어 아이를 낳고는 그를 어찌할 수 없자 금궤 속에 넣어 시림 숲 속에 걸어 두고는 누군가가 데려다 길러주기를 바랬던 것이라고...................따라서 알지의 정확한 혈통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신라의 김씨왕들이 흉노 휴도왕(休屠王)의 태자인 김일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고, 함통 5년인 서기 864년에 32세의 나이로 죽은 "대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이 섬서성 서안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묘지명에,

 

 

 

 

 

 

 

 

 

 

 "태상천자(太上天子)께서 나라를 태평하게 하시고 집안을 열어 드러내셨으니 이름하여 소호씨금천(少昊氏金天)이라 하는데,  이분이 곧 우리가 받은  성씨의 세조이시다.
  그 후에 유파가 갈라지고 갈래가 나뉘어 번창하고 빛나서 온 천하에 퍼지니 이미 그 수효가 많고도 많다.
  먼 조상 이름은 일제(김일제)이시니 흉노 조정에 몸담고 계시다가 서한(전한)에 투항하시어 무제(武帝) 아래서 벼슬하시었다.
  명예와 절개를 중히 여기니 (한무제께서) 그를 발탁해 시중과 상시에 임명하고 투정후에 봉하시니, 이후 7대에 걸쳐 벼슬하였고 눈부신 활약이 있었다.
  이로 말미암아 경조군(서안)에 정착하게 되니 이는 사책에 기록되어 있다. 
  큰 은덕을 베풀면 후손 중에 어진 이가 나타난다는 말을 여기서 징험할 수 있다.
  한(漢)나라가 덕을 드러내 보이지 않고 난리가 나서 괴로움을 겪게 되자, 곡식을 싸들고 나라를 떠나 난을 피해 멀리 피난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 집안은 요동(遼東)에 숨어살게 되었다................."
라고 김씨부인의 먼 조상이 흉노 휴도왕의 태자인 일제(김일제)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한 무제는 기원전 120년에 장군 곽거병을 보내 흉노를 침공하게 했는데,
  이때 흉노 휴도왕(休屠王)의 태자인 일제(당시 14세)와 그의 아우 윤 그리고 그 어머니인 휴도왕비 알씨(閼氏)를 포로로 잡게 된다.
  그러자 한 무제는 포로로 잡혀온 일제에게 소호금천씨의 성인 "김(金)씨" 성을 하사하게 되어 그때부터 일제는 소호금천씨의 후예라 하며 김씨 성을 사용하게 되고, 한나라에서 투후(투정후)라는 벼슬을 내리게 되어 그 벼슬은 대대로 그 후손에게 세습되어 진다.
  그러다가 전한이 왕망에 의해 멸망하고 신(新)나라가 건국되고, 다시 신나라가 멸망하고 후한이 건국되는 혼란한 시기가 되자 왕망의 신나라에 적극 참여했던 김일제의 후손들은 살아남기 위해 장안을 떠나 요동으로 피난하여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요동이라는 곳이 곧 요동군을 말하는 것인지, 광의의 요동지역을 말하는 개념인지는 불분명하지만 하여튼 김일제의 후손 중 일부가 장안을 떠나 요동지역에서 숨어  살게된 것만은 사실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는 신라의 김씨왕들이 김일제의 후예라고 단정할 수 있는 증거는 아무 것도 없다.
  그리고 한반도 경주에서 발견된 비편들은 한결같이 깨어진 채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석을 깨 버린다는 것은 그 비문의 내용에 심각한 하자가 있었거나 원한을 품은 사람들에 의해 깨어지게 되며 또는 나라가 멸망하면 핍박받던 백성들이 깨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누가, 언제, 무슨 목적으로 세웠는지도 알 수 없는 경주의 문무왕비라는 것은 깨어져 비편만 발견되었고, 문무왕의 15대조를 "성한왕"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비문의 기록에 커다란 하자가 있어 비석이 깨어졌던 것이라면 이 기록 역시 사실이 아닐 수 있고, 또 사실 한반도 경주는 신라의 천년 도읍 서라벌(금성)도 아니다.
  이는 수서 신라전에, "신라국은 고구려의 동남쪽에 있다. 한나라 때의 낙랑 땅에 사는데, 혹은 사라라고도 부른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북사에도 "신라는 그 선조가 본래 진한의 종족이다. 땅이 고구려의 동남쪽에 있는데, 한나라 때의 낙랑에 산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신·구당서에도 신라가 한나라 때의 낙랑 땅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알 수 있다.  

 

 

                                                                                                          해신묘전경

 

                                                      [진황도 산해관 해신묘의 해신상]

 

  신라는 한반도 경주가 아니라 지금의 중국 요녕성 금주시(錦州市)부근에서 건국되었고, 그곳을 중심으로 천년왕조를 이었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경주에서 발견된 문무왕 비편이라는 것은 누군가가 자기 생각과 주장을 글로 새겨 비석을 세웠는데, 후세 어느 사람이 그 비문을 읽어보고 말도 안 되는 엉터리 내용이라고 하여 깨버린 것은 아닐까? 
  또한 문무왕은 서기 626년에 태어났고, 그가 실제 성한왕의 15대손이라면, 문무왕의 15대조 할아버지 되는 성한왕(星漢王)이라는 사람은 1세대를 25년정도로 계산했을 때 문무왕보다 약 375년 전에 태어난 사람으로서 서기 250년경 태어난 사람이어야 한다. 성한왕이 곧 김알지를 말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연대가 맞지 않는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의하면 서기 250년은 신라 12대 첨해이사금 때이므로 4대 탈해이사금 9년(A.D.65)때 김씨의 시조로 처음 나타나는 알지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 되고, 김씨 최초의 신라왕으로서 262년에 왕위에 오른 13대 미추이사금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신라 김씨왕들이 왕위를 세습하기 시작하는 내물이사금(재위 356-402)도 될 수 없다.     


 

  아직까지는 신라 금성 시림에서 어린 아이 상태로 발견된 김알지가 흉노 휴도왕의 태자였던 김일제의 후예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시기적으로는 김알지가 시림에서 발견된 시기와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서 언급된 김씨부인의 먼 조상들이 장안에서 살다가 요동으로 피난해 갔다는 시기가 거의 일치하기는 한다.

 

☆ 옛 요동은 지금의 요동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북경 부근을 말하는 것이고, 신라의 건국지는 지금의 중국 요녕성 금주시(錦州市) 부근이었고, 가야 또한 요녕성 흥성, 진황도 부근이 건국지였으며, 백제의 건국지 역시 진황도 도산 남쪽 부근이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한반도 삼국의 역사기록이 아니라 지금 난하를 중심으로 존속했던 대륙삼국에서 일어났던 사건들을 기록한 역사서이다.

  

  만약 김알지가 정말로 흉노 태자였던 김일제의 후예라면 이때 김알지의 부모는 후한에서의 난리를 피해 당시 그들이 살던 장안 즉 지금의 서안을 출발하여 동북쪽으로 향하여 황하를 건너고 요수를 건너 요동으로 온 후 일부는 그곳에 정착하고 또 일부는 다시 동쪽으로 더 이동하여 요녕성 금주시(錦州市) 부근의 신라까지 와서 아이를 금성 시림 숲 속에 버렸고, 그를 탈해이사금이 거두어 김알지라 이름하고 길렀으며, 후세 그 후손들이 신라의 왕위에 올랐던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게 되며, 신라 김씨왕들이 흉노 휴도왕의 혈통을 이어받았다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신라 혁거세의 후손들인 박씨들은 내몽골 섬전하 부근에 위치했던 동부여 해부루왕의 딸인 파소(사소라고도 한다)공주의 혈통을 이어받았고, 

  탈해의 후손들인 석씨들은 고대의 왜국이 있었던 지금의 요동반도 동북쪽 1천여리 쯤에 위치한 다파나국왕 또는 용성국왕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그렇다면 알지의 후손들인 김씨들이 정말로 지금 감숙성 북부 무위 부근에 위치했었다는 흉노 휴도왕의 혈통을 이어받은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