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동부여 해부루왕 2

윤여동설 - 동부여 초기 왕들과 고구려 초기 왕들의 생몰년도 비교

윤여동설 - 동부여 초기 왕들과 고구려 초기 왕들의 생몰년도 비교 동부여 고구려 해부루왕(재위:B.C.86-B.C.48) 유화부인[주몽왕의 어머니] [추정생몰:B.C.120-B.C.48] [추정생몰:B.C.97-B.C.24] 약 73세졸 약 74세졸 ☆ 삼국사기에는 유화부인이 주몽을 잉태한 후 우발수에서 동부여 금와왕과 만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오기로 보이고, 사실은 해부루왕 때이다. 금와왕(재위:B.C.48-B.C.7) 주몽왕(재위:B.C.58-B.C.19) [생몰:B.C.77-B.C.7] [생몰:B.C.79-B.C.19] 71세졸 61세졸 ☆ 주몽은 기원전 79년에 태어나 22세 때인 기원전 58년에 동부여에서 도망쳐 졸본으로 가서 졸본부여왕의 둘째공주와 혼인하였고, 왕이 죽자 그 왕위를 이어받아..

카테고리 없음 2017.02.18

윤여동설 - 추모왕(주몽왕) 탄생설화와 고구려 건국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추모왕(주몽왕) 탄생설화와 고구려 건국 - 최초주장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를 보면 주몽을 추모(鄒牟) 또는 중해(衆解)라고도 한다" 라고 기록하고 있고, 가장 정확할 것으로 여겨지는 호태왕 비문에도 고구려의 건국시조를 "추모왕(鄒牟王)"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 건국시조 주몽왕의 시호는 동명성왕이 아니라 추모왕이었음에 틀림없다. ☆ 삼국사기에는 주몽을 동명성왕이라 기록하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서 졸본부여의 건국시조인 동명왕과 고구려의 건국시조인 추모왕을 혼동한 결과이다. 이는 당시의 기록인 국강상광개토경 평안호태왕 비문에 고구려의 건국시조를 동명성왕이라 기록하지 않고 추모왕이라 기록하고 있는 것은 그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또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

카테고리 없음 200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