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카테고리 없음

윤여동설 - 근초고왕을 알면 백제(대륙백제)가 보인다(1) - 최초주장

윤여동 2008. 1. 29. 00:18

윤여동설 - 근초고왕을 알면 백제(대륙백제)가 보인다 (1) - 최초주장

 

 

  백제 13대 근초고왕은 비밀의 왕국 백제의 역사를 밝히기 위해 매우 중요한 왕이다.
  지금 우리는 그가 백제 역사상 가장 넓은 강역을 이루었고, 고구려와의 전쟁에서도 승리했으며, 백제 최초의 역사서도 만들었고, 이때부터 백제가 비로소 중국과 교류하게 되었다고 알고 있다.
  따라서 그가 백제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아직까지도 근초고왕에 대하여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고, 그와 관련된 거의 모두가 논란 중에 있다.
  즉 근초고왕의 이름이 무엇이고, 왕비는 누구이며,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그의 업적이 왜 20년 간이나 아무 것도 기록되지 않았고, 앞 왕이었던 계왕과는 무슨 관계이며, 중국으로부터 받은 작위는 무엇이며, 백제가 한 때 차지한 적이 있었다는 요서 진평현과는 무슨 관계이며, 그가 옮긴 도읍 한산은 어디를 말하며, 서기라는 기록이 과연 백제 최초의 역사서를 말하는지, 또 8대 고이왕부터 시작되는 혼란스런 백제 왕실의 이상한 왕위 계승과는 무슨 관계이며, 그의 시호를 왜 선왕인 5대 초고왕의 시호에 "근(近)" 자를 붙여 정했는지 등이다.        
  그렇다면 하나 하나 근초고왕에 대하여 밝혀보면 의문으로 가득 차 있는 백제 역사의 비밀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근초고왕의 이름은 "부여구", 작위는 "진동장군 영낙랑태수 백제왕"이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13대 근초고왕에 대하여,
  "근초고왕은 비류왕의 둘째 아들이다. 그는 체격이 크고, 용모가 기이했으며, 원대한 식견이 있었다. 계왕이 죽어 왕위를 이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 그의 이름은 삼국사기에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런데  진서(晉書)권9  제기제9 간문제(簡文帝) 함안(咸安) 2년(A.D.372) 조에, "六月 遣使拜百濟王餘句 爲鎭東將軍 領樂浪太守(6월 사신을 보내 백제왕 여구에게 진동장군 영낙랑태수의 작위를 주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백제 근초고왕의 원래 이름이 "구(句)"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록상 백제왕 중에서 중국으로부터 받은 최초의 작위였다.   
  그런데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조에는 백제왕실의 성씨를 "부여(扶餘)"씨로 기록하고 있으므로 실제 근초고왕의 이름은 "부여구(扶餘句)"였고, 그가 동진 간문제 때 "진동장군 영낙랑태수 백제왕"의 작위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백제가 이때부터 대외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교류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작위를 임명장 성격으로 이해하는 사람이 많으나 사실은 어느 지역의 소유권, 통치권을 국가 간에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중국으로부터 작위를 받았다고 하여 이때의 백제가 동진에 예속되어 있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백제와 동진이 이때부터 교류하게 되었다고 이해하면 된다.  

 

백제 왕위계승의 비밀

 

 

13대 근초고왕은 백제 11대 비류왕의 둘째 아들이었다.
  그런데 그는 그 아버지 비류왕이 죽은 후 바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혈통이 다른 12대 계왕이 죽은 후에야 왕위에 올랐다.
  비류왕은 약 80세 정도까지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때 적어도 40세쯤은 되었을 부여구(후일의 근초고왕)는 왜 그 아버지 비류왕의 뒤를 이어 바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12대 계왕이 죽은 후에야 왕위에 올랐을까?
  근초고왕과 계왕은 무슨 관계였을까?   
  이는 온조왕으로 거슬러 올라가 따져 내려와야 그 비밀을 알 수 있다.
  백제의 건국시조인 온조왕은 73-74세에 죽었는데, 이때 그의 아들은 이미 죽은 때였다.
  그리하여 온조왕은 큰손자인 다루왕에게 왕위를 물려 줄 수밖에 없었고,   다루왕 역시 아들이 일찍 죽어 손자인 기루에게 왕위를 전했으며,    기루왕 역시 아들이 일찍 죽어 또 손자인 개루에게 왕위를 전했던 것으로 보인다.

 

  [새로 그린 백제 왕위 계승도]

 

                                         시조 온조왕

                                                   ↓

                                                   자(실명 :온조왕보다 먼저 죽었다)

                                                   ↓

                                          2대 다루왕

                                                   ↓

                                                   자(실명 : 다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3대 기루왕 

                                                   ↓

                                                  자(실명 : 기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4대 개루왕

           (장자파)                                                          (차자파)

             ................................................I..................................................        

            ↓                                                                     ↓

      5대 초고왕                                                              구태             

            ↓                                                                     ↓

      6대 구수왕                                                                자(실명)

            ↓                                                                      ↓

            자(실명 : 구수왕보다 일찍 죽었다)                       8대 고이왕

            .I............................                                   

            ↓                         ↓                                           ↓

      7대 사반왕                   자(실명)                              9대 책계왕

                                       ↓                                            ↓

                         11대 비류왕                                    10대 분서왕

                                       ↓                                             ↓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                                              ↓

                                                                                  반도백제

                                14대 근구수왕                               시조 무광왕 

            ..............................I....................        

           ↓                              ↓                                      ↓

    15대 침류왕               16대 진사왕                               ?(실명)         

           ↓                                                                       ↓

    17대 아신왕                                                                 ?(실명)

           ↓                                                                        ↓                                        

    18대 전지왕                                                                   ?(실명)

            I...........................................

           ↓                      ↓                                               ↓

   19대 구이신왕                      20대 비유왕                          모도왕 

                     ........................I.....................        

                    ↓                          ↓                                    ↓                  

             21대 개로왕(근개루왕) 22대 문주왕                           곤지

                                                                                 ............I....................           

                                                 ↓                   ↓2자           ↓6자

                                            23대 삼근왕         24대 동성왕    25대 무령왕

                                                                        ↓                      ↓

                                                                        자              26대  성왕

                                                                                           ...........I......... 

                                                                         ↓              ↓           ↓

                                                                         자     27대 위덕왕   28대 혜왕

                                                                          ↓                            ↓

                                                                          자                       29대 법왕

                                                                          ↓                 

                                                                    30대 무왕

                                                                           ↓

                                                                   31대 의자왕

 

삼국사기에는 다루왕을 온조왕의 아들, 개루왕을 기루왕의 아들, 사반왕을 구수왕의 아들, 고이왕을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라 기록하고 있으나 이는 틀렸으므로 필자가 바로 잡는다.그리고 반도백제의 왕위는 모도왕의 뒤를 이어 장손자(필자주 : 곤지의 장자이고, 동성왕의 형이었던 남제왕으로 보인다)가 왕위에 올랐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왕위계승에 대하여 전해지지 않았다 

 

  그런데 이 개루왕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다.
  큰아들은 초고왕이었고, 작은 아들은 구태였는데, 백제의 왕위는 초고왕의 장자인 구수왕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런데 다시 구수왕이 오래 살아 그 아들은 일찍 죽고 손자인 사반왕으로 왕위가 전해지게 되는데, 이때 구태의 손자인 고이왕이 어린 조카인 사반왕으로부터 왕위를 찬탈하게 되어 이때부터 백제는 장자파인 초고왕파와 차자파인 구태파로 나누어져 왕위찬탈로 얼룩지게 된다.
  즉 8대 고이왕, 9대 책계왕, 10대 분서왕은 차자파이고, 11대 비류왕은 장자파로서 7대 사반왕의 동생의 아들이었는데, 자라서 장자파로 왕위를 찾아오게 된다.
  그런데 차자파이며 10대 분서왕의 장자였던 12대 계왕이 다시 차자파로 왕위를 되돌리게 되었으나 11대 비류왕의 아들로서 장자파였던 13대 근초고왕이 다시 장자파로 왕위를 되돌리게 되는 것이다.
  백제의 왕위 계승에는 장자파와 차자파라는 파벌이 작용함으로써 왕위찬탈로 얼룩져 있었으나 우리는 지금까지 백제 왕위 계승 속에 숨겨진 비밀을 풀지 못해 그를 알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근초고왕의 왕비는 진(眞)씨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초고왕 2년(A.D.347)조를 보면, 
  "봄 정월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다. 진정을 임명하여 조정좌평을 삼았다. 진정은 왕후의 친척으로서 성질이 매우 흉악하고 어질지 못하며, 일에 대해서는 까다롭고 잔소리가 많았으며, 권세를 믿고 마음대로 하니 백성들이 그를 미워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근초고왕의 왕비는 진씨였음을 알 수 있는데, 역사 기록을 보면 백제 초기의 왕비는 진씨와 해씨 두 성씨에서 주로 간택했던 것으로 보인다.[9대 책계왕의 왕비는 공손씨였다]
  유추해 보면, 온조왕의 어머니 소서노가 졸본을 떠나 진번 땅으로 온 후 그 지방의 토호였던 진씨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한산 부근 진씨 가문의 처녀와 온조를 혼인시키게 되었고, 부여에서 같이 온 해씨가문의 처녀와 비류를 혼인시켰던 것이 아니었나 싶다.
  그러다가 기원전 18년에 비류의 백제와 온조의 십제가 건국되었으나 얼마 후 비류가 일찍 죽고 비류의 백제가 온조의 십제에 병합되자 그때부터 해씨들은 침체하고 진씨들이 대를 이어 왕비를 배출하는 가문으로 자리잡았던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다가 17대 아신왕이 숙부인 진사왕에게 왕위를 빼앗기게 되자 그 왕위를 되찾기 위해 해씨가문의 여인을 부인으로 맞아들여 아들 전지를 낳게 되고, 해씨들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른 후 해씨여인 소생인 전지를 태자로 봉하게 됨으로써 해씨들도 다시 왕비를 배출하는 가문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서기 405년 전지왕 즉위 때부터 이후 479년 삼근왕이 죽을 때까지 약 70여 년 간 해씨들이 백제의 모든 권력을 독차지하다가 동성왕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해씨들은 권력을 잃게 되었고, 왕비는 다시 진씨가문에서 간택했던 것으로 보인다. 

                                                                                                  

      [2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