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카테고리 없음

윤여동설 - 백제 무광왕(武廣王)과 모도왕(牟都王)은 어디에서 왕위에 올랐을까? - 최초주장

윤여동 2010. 9. 13. 00:46

윤여동설 - 백제 무광왕(武廣王)과 모도왕(牟都王)은 반도백제의 왕들이었고,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왕들은 대륙백제의 왕들이었다 - 최초주장  

 

 

  백제 역사는 아직까지도 풀지 못한 비밀들이 많이 있다.

  지금 많은 사람들은 삼국사기 기록 속의 백제가 한반도에서 건국되었다고 인식한다.

  그리고는 첫 도읍 위례성이 천안 직산이다 아니다 풍납토성이다 하면서 한반도에서 백제의 초기 도읍지를 찾고 있고, 백제의 마지막 도읍 사비를 충남 부여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삼국사기 기록 속의 백제는 대륙백제로서 한반도에서 건국된 나라가 아니라 지금의 발해 북쪽 중국 하북성에서 건국된 나라였다.

 

  그리고 관세음응험기에는 “백제 무광왕(武廣王)이 지모밀지로 천도하고 새로 절을 지었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또 남제서를 보면, 백제 동성왕이 북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남제에 사신을 보내자 동성왕을 “사지절 도독백제제군사 진동대장군으로 삼고 알자복야 손부를 사신으로 보내 책명으로 모대를 그의 죽은 할아버지 모도(牟都) 의 뒤를 이어 백제왕으로 봉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모도(牟都)라는 사람이 백제의 왕위에 오른 적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양서 백제전에도, “여경(개로왕)이 죽고 그 아들 모도가 왕위에 올랐다” 라고 기록되어 있고,

  남사 백제전에도, “여경이 죽고 그 아들 모도가 왕위에 올랐다” 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모도왕이라는 왕이 백제의 왕위에 올랐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삼국사기에는 백제의 왕들 중에 “무광왕(武廣王)”에 대해서는 단 한 줄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모도왕에 대해서는 동성왕 조의 주에서 “삼한고기에는 모도가 왕이 된 사실이 없으며, 또한 모대는 개로왕의 손자 즉 개로왕의 둘째아들 곤지의 아들이라는 것만 기록되어 있고 그의 할아버지가 모도라고는 하지 않았으니 제서(남제서)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는데, 이를 보면 삼국사기의 찬자들도 백제 무광왕과 모도왕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던 듯하다.

  아주 이상한 일인 것이다.  

  그렇다면 관세음응험기는 왜 무광왕을 백제왕이라 기록했던 것이며, 그가 지모밀지라는 곳으로 천도했다고 기록했고, 중국 사서들은 왜 백제에 모도왕이라는 왕이 왕위에 올랐었다고 기록했던 것이며, 모도왕이 동성왕의 할아버지였다고 기록했던 것일까? 

  있지도 않은 사실을 자기들 마음대로 꾸며서 사서에 기록했던 것일까?

  그랬을 리는 없다.

 

  그리하여 필자가 연구해보니,

  백제 무광왕이라는 왕은 대륙백제 12대 계왕의 태자로서 대륙에서 장자파인 근초고왕과의 왕위다툼에서 패하자 한반도로 건너와 지금의 전북 익산 금마에 다시 백제(반도백제)를 세운 사람으로서 이때부터 한반도에 백제의 흔적들이 남겨지기 시작했고, 칠지도는 바로 이 무광왕이 왜왕이 된 그 아들에게 금으로 글씨를 새겨 내려준 칼이었다.  

  또 모도왕이라는 왕은 바로 이 무광왕의 고손자로 나타나며, 그 아들은 곤지였으며, 곤지의 둘째아들이 모대(동성왕)로서 모대는 곧 이 모도왕의 둘째 손자였다.

  남제에서 동성왕에게 그 죽은 할아버지 모도왕의 작위를 계승하게 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이었다.

  따라서 삼한고기에 정말로 동성왕이 개로왕의 둘째아들인 곤지의 아들이라 기록했었다면 삼한고기의 기록에도 오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곤지는 개로왕의 둘째아들이 아니라 반도백제 모도왕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백제 왕위 계승도를 그려보면 아래와 같이 그려볼 수 있다.

  

  [새로 그린 백제 왕위 계승도]

 

                                시조 온조왕

                                          ↓

                                         자(살명 :온조왕보다 먼저 죽었다)

                                          ↓

                                  2대 다루왕

                                          ↓

                                          자(실명 : 다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3대 기루왕 

                                          ↓

                                          자(실명 : 기루왕보다 먼저 죽었다)

                                         ↓

                          4대 개루왕

           (장자파)                                               (차자파)

             ................................................I..................................................        

            ↓                                                           ↓

      5대 초고왕                                                    구태             

            ↓                                                           ↓

      6대 구수왕                                                      자(실명)

            ↓                                                           ↓

            자(실명 : 구수왕보다 일찍 죽었다)           8대 고이왕

            .I............................                                   

            ↓                         ↓                                ↓

      7대 사반왕                   자(실명)                 9대 책계왕

                                       ↓                                 ↓

                         11대 비류왕                       10대 분서왕

                                       ↓                                 ↓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                                 ↓

                                                                   반도백제

                                14대 근구수왕               시조 무광왕 

            ..............................I....................        

           ↓                             ↓                              ↓

    15대 침류왕              16대 진사왕                           ?(실명)         

           ↓                                                              ↓

    17대 아신왕                                                         ?(실명)

           ↓                                                               ↓                                        

    18대 전지왕                                                          ?(실명)

            I...........................................

           ↓                        ↓                                    ↓

   19대 구이신왕       20대 비유왕                               모도왕 

                     ........................I......        

                    ↓                    ↓                       ↓                  

             21대 개로왕(근개루왕) 22대 문주왕                   곤지

                                                                    ............I...............

                                                ↓              ↓2자         ↓6자

                                       23대 삼근왕       24대 동성왕     25대 무령왕

                                                                ↓                   ↓

                                                    자            26대  성왕

                                                                              ...........I......... 

                                                               ↓           ↓             ↓

                                                      27대 위덕왕   28대 혜왕

                                                               ↓                          ↓

                                                              자                   29대 법왕

                                                               ↓                 

                                                         30대 무왕

                                                               ↓

                                              31대 의자왕

 

☆ 반도백제의 왕위는 모도왕의 뒤를 이어 장손자(곤지의 장자이고, 동성왕의 형인 남제왕으로 추정)가 왕위에 올랐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왕위계승에 대하여 전해지지 않았다.

 

  위 백제 왕위 계승도는 사서의 기록들과 연대를 감안하여 필자가 그린 것인데, 대륙에서 근초고왕과의 왕위 다툼에서 패한 계왕의 아들 무광왕이 한반도로 도망쳐 와서 지모밀지(익산 금마)에 도읍하고 다시 백제(반도백제)를 세웠다. 

  그렇게 되어 두 백제(대륙백제와 반도백제)는 이후 100여년간 대륙과 반도로 나뉘어 각각 발전하게 되는데, 대륙백제 21대 개로왕(근개루왕)때 이르러 대륙백제의 국력이 약화되어 독자 생존이 어려워지자 개로왕은 반도백제의 모도왕에게 두 백제의 통합을 제안하게 된다.

  이때 개로왕이 내세운 명분이 대륙백제나 반도백제는 모두 4대 개루왕의 후손이라는 것이었으므로 개로왕을 근개루왕이라고도 부르게 된 것이다.

 

☆ 백제의 왕 중에 시호에 “근(近)”자가 붙여진 왕은 13대 근초고왕, 14대 근구수왕, 21대 근개루왕(개로왕) 세 명 뿐인데, 근초고왕은 5대 초고왕의 후예라는 의미로서 장자파라는 뜻이고, 근구수왕은 6대 구수왕의 후예라는 의미로서 역시 장자파임을 나타낸 것이고, 근개루왕(개로왕)은 4대 개루왕의 후예라는 의미로서 그가 대륙백제나 반도백제 모두 4대 개루왕의 후예임을 천명하며 두 백제의 통합을 추진했기 때문에 붙여진 시호였다. 

 

  그러자 반도백제 모도왕도 그 제안에 동조하고 두 백제의 통합을 추진하기 위하여 태자인 곤지를 대륙으로 보내 협상하게 했는데, 이때 대륙백제의 외척인 해씨들은 그에 반대하게 된다.

  자신들의 권력이 약화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게 대륙백제의 국론이 분열되자 고구려 장수왕이 대륙백제를 침공하게 되어 도읍인 한성(북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이 고구려군에게 잡혀 죽게 되고, 개로왕의 동복동생인 문주왕이 왕위에 올라 도읍을 웅진으로 옮기게 된다.

  그런데 국난을 수습한 문주왕이 잠시 주춤했던 두 백제의 통합을 다시 추진하자 급기야 해씨들은 문주왕을 시해하게 되고, 두 백제의 통합을 위해 반도에서 대륙으로 건너가 있던 반도백제 모도왕의 태자 곤지 역시 죽여 버리고 나이어린 허수아비 삼근왕을 왕위에 올리게 된다.

  그러자 반도백제 모도왕은 대륙백제의 해씨들과 삼근왕을 무력으로 제거함으로써 대륙백제를 흡수통합하게 되고, 죽은 곤지의 둘째 아들이며 자신의 둘째 손자인 모대(동성왕 :모태라고도 한다)를 대륙으로 보내 대륙백제의 왕위에 올린다. 그리고 반도백제는 장손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죽는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동성왕(모대)이 대륙백제에서 다시 백가에게 시해를 당하게 되자 반도백제에서 사마가 대륙으로 건너가 백가의 난을 진압하고 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이가 곧 대륙백제 25대 무령왕이다.

 

☆ 삼국사기에는 무령왕을 동성왕의 아들이라 기록하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서 동성왕과 무령왕은 이복형제 사이였다. 동성왕이 형이고, 무령왕이 동생이었다.

 

  사람들은 무령왕의 능이 지금 한반도의 충남 공주에 있기 때문에 무령왕이 한반도에서 왕위에 올랐다가 죽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무령왕은 한반도에서 죽은 것이 아니라 대륙백제의 왕위에 올랐다가 대륙의 웅진(진황도 노룡현)에서 죽었으나 그 유골을 고향인 한반도로 가져와 능을 조성하고 안치했기 때문에 지금 한반도의 공주에 무령왕릉이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지금 천안 직산 성거산 위례산성과 서울의 풍납토성을 발굴 중에 있는데, 백제가 대륙에서 건국되었다는 수많은 사서의 기록들과 재야 역사연구자들의 주장을 무시하고 그곳이 백제의 건국지 위례성일지도 모른다고 하면서 발굴하는 것이란다.

  쓸데없이 아까운 세금만 축낼 뿐 그곳에서 백제건국을 밝혀줄 결정적인 유물이 출토될 리가 없고, 그렇게 쬐끄만 산성이 백제의 초기 도읍 위례성일 것이라니...........

  그리고 한반도에서 건국되지도 않은 대륙백제의 건국지를 한반도에서 찾고 있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인 것이다. 

  온조왕은 지금의 중국 하북성 난하 부근(사실은 패수 동쪽 북한산 남쪽)에서 백제를 건국하였다.

  따라서 백제의 첫 도읍 위례성은 난하 부근에서 찾을 일이지 한반도에서 찾을 할 일이 아니다.   

  그리고 한반도에 백제의 흔적들이 남겨지기 시작한 때는 무광왕이 한반도에 백제(반도백제)를 건국한 서기 365년경부터이다.  

  동성왕이 임류각을 짓고 신하들과 잔치를 베풀고 놀았던 곳도 충남 공주가 아니라, 하북성 진황도 노룡현 부근이고,

  무왕이 강 양쪽으로 기암괴석이 있고 기화요초가 있는 강변에서 거문고를 타고 노래 부르고 신하들이 춤추며 놀았다는 곳(대왕포)도 충남 부여 백마강변이 아니라, 난하 강변의 하북성 당산시 난주(난현) 부근이며,

  사비성이 함락되자 궁녀들이 강물에 꽃처럼 떨어진 곳도 부여의 낙화암이 아니고,

  의자왕이 당나라로 잡혀간 곳도 부여의 구드레나루가 아니다.

  어디 그 뿐일까?

  신라의 서라벌 금성과 신라군이 넘었다는 탄현은 한반도에 없고,

  당나라군이 타고 올라왔다는 백강도 금강이 아니며,

  계백장군이 5천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군을 막다가 산화한 황산벌도 충남 연산이 아니다. 

  한반도에 관한 내용은 삼국사기에 단 한 줄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김부식 역시 한반도에서 살았던 것이 아니라 지금의 중국 하북성에서 살다 죽은 사람이다.   

  삼국사기 기록 속의 대륙백제를 찾으려면 지금 북경 동쪽을 흐르는 난하 부근으로 가야 한다.

  그런데 지금 백제를 말하는 사람들은 삼국사기 기록 속의 대륙백제 만을 알고, 반도백제 무광왕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모도왕이 백제의 왕위에 올랐었다고 사서의 기록들이 알려주고 있으나 역시 그를 말하는 사람이 없다.

  백제의 역사인 - 대륙백제와 반도백제 - 통합백제의 역사를 제대로 설명하려면 반도백제의 건국시조 무광왕과 그 후예인 모도왕 등의 신분과 업적을 정확히 밝혀내지 않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