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동설 - 당 태종 고구려 침공로와 철군로 - 최초주장

당 태종의 고구려를 침공로를 보면, 정관 18년(A.D.644) 10월 14일에 장안을 출발하여 낙양을 거쳐 정주로 와서 군사들을 출발시킨다.
그리고는 유주, 북평을 지나 요택과 요수를 건너 요동성(현 북경부근)을 점령하게 되고, 다시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11개월 만인 645년 9월 18일에 철군을 결정하게 되는데, 철군로를 보면, 안시성에서부터 정주까지는 갔던 길을 되짚어 왔으나 정주(定州)부터는 방향을 바꿔 병주(幷州 : 산서성 태원부근)를 거쳐 장안(현 서안)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림으로 그려보면 위와 같은데, 어느 사람은 당 태종이 안시성에서 양만춘이 쏜 화살에 눈을 맞아 애꾸가 되었다고 하기도 한다. 당 태종이 철군할 때 종기가 나서 태자가 종기의 고름을 입으로 빨아냈다는 기록과 장안으로 돌아간 직후 당 태종이 깊은 병에 걸려 국정을 태자에게 위임했었다는 기록을 보고는 그러한 상상을 했던 것이 아닌가 싶은데, 당 태종은 철군하고 나서 3년쯤 지난 649년 4월에 이르러 죽었다.
☆ 신‧구당서와 자치통감 등을 보면,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고 철군할 때의 일진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 날짜를 확인하기 쉽게 그 전쟁기간 동안의 일진표를 작성하여 붙입니다. 퍼갈수 있도록 해 놓았으니 필요하신 분은 퍼가셔서 연구에 활용하십시오.
정관 18년(A.D.644) 갑진년 일진표
구분 7월大 8월小 9월大 10월大 11월大 12월小
(임신삭) (임인삭) (신미삭) (신축삭) (신미삭) (신축삭)
1 임신 임인 신미 신축 신미 신축
2 계유 계묘 임신 임인 임신 임인
3 갑술 갑진 계유 계묘 계유 계묘
4 을해 을사 갑술 갑진 갑술 갑진
5 병자 병오 을해 을사 을해 을사
6 정축 정미 병자 병오 병자 병오
7 무인 무신 정축 정미 정축 정미
8 기묘 기유 무인 무신 무인 무신
9 경진 경술 기묘 기유 기묘 기유
10 신사 신해 경진 경술 경진 경술
11 임오 임자 신사 신해 신사 신해
12 계미 계축 임오 임자 임오 임자
13 갑신 갑인 계미 계축 계미 계축
14 을유 을묘 갑신 갑인 갑신 갑인
15 병술 병진 을유 을묘 을유 을묘
16 정해 정사 병술 병진 병술 병진
17 무자 무오 정해 정사 정해 정사
18 기축 기미 무자 무오 무자 무오
19 경인 경신 기축 기미 기축 기미
20 신묘 신유 경인 경신 경인 경신
21 임진 임술 신묘 신유 신묘 신유
22 계사 계해 임진 임술 임진 임술
23 갑오 갑자 계사 계해 계사 계해
24 을미 을축 갑오 갑자 갑오 갑자
25 병신 병인 을미 을축 을미 을축
26 정유 정묘 병신 병인 병신 병인
27 무술 무진 정유 정묘 정유 정묘
28 기해 기사 무술 무진 무술 무진
29 경자 경오 기해 기사 기해 기사
30 신축 - 경자 경오 경자 -
정관 19년(A.D.645) 을사년 일진표
구분 1월小 2월大 3월小 4월大 5월小 6월大
(경오삭) (기해삭) (기사삭) (무술삭) (무진삭) (정유삭)
1 경오 기해 기사 무술 무진 정유
2 신미 경자 경오 기해 기사 무술
3 임신 신축 신미 경자 경오 기해
4 계유 임인 임신 신축 신미 경자
5 갑술 계묘 계유 임인 임신 신축
6 을해 갑진 갑술 계묘 계유 임인
7 병자 을사 을해 갑진 갑술 계묘
8 정축 병오 병자 을사 을해 갑진
9 무인 정미 정축 병오 병자 을사
10 기묘 무신 무인 정미 정축 병오
11 경진 기유 기묘 무신 무인 정미
12 신사 경술 경진 기유 기묘 무신
13 임오 신해 신사 경술 경진 기유
14 계미 임자 임오 신해 신사 경술
15 갑신 계축 계미 임자 임오 신해
16 을유 갑인 갑신 계축 계미 임자
17 병술 을묘 을유 갑인 갑신 계축
18 정해 병진 병술 을묘 을유 갑인
19 무자 정사 정해 병진 병술 을묘
20 기축 무오 무자 정사 정해 병진
21 경인 기미 기축 무오 무자 정사
22 신묘 경신 경인 기미 기축 무오
23 임진 신유 신묘 경신 경인 기미
24 계사 임술 임진 신유 신묘 경신
25 갑오 계해 계사 임술 임진 신유
26 을미 갑자 갑오 계해 계사 임술
27 병신 을축 을미 갑자 갑오 계해
28 정유 병인 병신 을축 을미 갑자
29 무술 정묘 정유 병인 병신 을축
30 - 무진 - 정묘 - 병인
정관 19년(A.D.645) 을사년 일진표
구분 7월大 8월小 9월大 10월小 11월大 12월小
(정묘삭) (정유삭) (병인삭) (병신삭) (을축삭) (을미삭)
1 정묘 정유 병인 병신 을축 을미
2 무진 무술 정묘 정유 병인 병신
3 기사 기해 무진 무술 정묘 정유
4 경오 경자 기사 기해 무진 무술
5 신미 신축 경오 경자 기사 기해
6 임신 임인 신미 신축 경오 경자
7 계유 계묘 임신 임인 신미 신축
8 갑술 갑진 계유 계묘 임신 임인
9 을해 을사 갑술 갑진 계유 계묘
10 병자 병오 을해 을사 갑술 갑진
11 정축 정미 병자 병오 을해 을사
12 무인 무신 정축 정미 병자 병오
13 기묘 기유 무인 무신 정축 정미
14 경진 경술 기묘 기유 무인 무신
15 신사 신해 경진 경술 기묘 기유
16 임오 임자 신사 신해 경진 경술
17 계미 계축 임오 임자 신사 신해
18 갑신 갑인 계미 계축 임오 임자
19 을유 을묘 갑신 갑인 계미 계축
20 병술 병진 을유 을묘 갑신 갑인
21 정해 정사 병술 병진 을유 을묘
22 무자 무오 정해 정사 병술 병진
23 기축 기미 무자 무오 정해 정사
24 경인 경신 기축 기미 무자 무오
25 신묘 신유 경인 경신 기축 기미
26 임진 임술 신묘 신유 경인 경신
27 계사 계해 임진 임술 신묘 신유
28 갑오 갑자 계사 계해 임진 임술
29 을미 을축 갑오 갑자 계사 계해
30 병신 - 을미 - 갑오 -
정관 20년(A.D.646) 병오년 일진표
구분 1월大 2월小 3월大 윤3월小 4월大 5월小 6월大
(갑자삭) (갑오삭) (계해삭) (계사삭) (임술삭) (임진삭) (신유삭)
1 갑자 갑오 계해 계사 임술 임진 신유
2 을축 을미 갑자 갑오 계해 계사 임술
3 병인 병신 을축 을미 갑자 갑오 계해
4 정묘 정유 병인 병신 을축 을미 갑자
5 무진 무술 정묘 정유 병인 병신 을축
6 기사 기해 무진 무술 정묘 정유 병인
7 경오 경자 기사 기해 무진 무술 정묘
8 신미 신축 경오 경자 기사 기해 무진
9 임신 임인 신미 신축 경오 경자 기사
10 계유 계묘 임신 임인 신미 신축 경오
11 갑술 갑진 계유 계묘 임신 임인 신미
12 을해 을사 갑술 갑진 계유 계묘 임신
13 병자 병오 을해 을사 갑술 갑진 계유
14 정축 정미 병자 병오 을해 을사 갑술
15 무인 무신 정축 정미 병자 병오 을해
16 기묘 기유 무인 무신 정축 정미 병자
17 경진 경술 기묘 기유 무인 무신 정축
18 신사 신해 경진 경술 기묘 기유 무인
19 임오 임자 신사 신해 경진 경술 기묘
20 계미 계축 임오 임자 신사 신해 경진
21 갑신 갑인 계미 계축 임오 임자 신사
22 을유 을묘 갑신 갑인 계미 계축 임오
23 병술 병진 을유 을묘 갑신 갑인 계미
24 장해 정사 병술 병진 을유 을묘 갑신
25 무자 무오 정해 정사 병술 병진 을유
26 기축 기미 무자 무오 정해 정사 병술
27 경인 경신 기축 기미 무자 무오 정해
28 신묘 신유 경인 경신 기축 기미 무자
29 임진 임술 신묘 신유 경인 경신 기축
30 계사 - 임진 - 신묘 - 경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