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동설 – 대륙백제 왕릉 조성지 찾기 - 최초주장
대륙백제의 도읍이전
도읍명 도읍기간 왕위계승 비고
위례성 B.C.18 – B.C.5(13년간) 시조 온조왕 백제건국
남한성 B.C.5 – A.D.371(376년간) 시조 온조왕 장자계승기
2대 다루왕
3대 기루왕
4대 개루왕
5대 초고왕
6대 구수왕
7대 사반왕
8대 고이왕 왕위찬탈기
9대 책계왕
10대 분서왕
11대 비류왕 왕위찬탈기
12대 계왕 왕위찬탈기
13대 근초고왕 왕위찬탈기
한성 A.D.371 – 475(104년간) 13대 근초고왕 무광왕이
14대 근구수왕 반도백제
15대 침류왕 건국
16대 진사왕
17대 아신왕
18대 전지왕
19대 구이신왕
20대 비유왕
21대 개로왕 통합추진기
웅진 A.D.475 – 538(63년간) 22대 문주왕
23대 삼근왕
24대 동성왕 반도백제가
25대 무령왕 대륙백제를
26대 성왕 흡수통합
사비 A.D.538 – 660(122년간) 26대 성왕
27대 위덕왕
28대 혜왕
29대 법왕
30대 무왕
31대 의자왕
온조왕의 백제(대륙백제)는 8대 고이왕이 234년에 집안 조카인 7대 사반왕으로부터 왕위를 찬탈한 이후 장자파와 차자파로 나뉘어 무려 100여년간 왕위찬탈전을 펼쳤다.
그러다가 12대 계왕의 아들인 무광왕(武廣王)과 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 때 내란으로 번져 20여년간 다투었는데, 최종으로 근초고왕이 승리하여 근초고왕은 대륙백제의 왕위를 이었고, 패한 무광왕은 365년경 대륙을 떠나 한반도로 도망쳐 와서 지모밀지(한반도 전북 익산 금마)에 도읍하고 다시 반도백제를 건국하고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리하여 두 백제가 대륙(대륙백제)과 한반도(반도백제)에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그로부터 100여년이 흐르자 대륙백제는 개로왕(蓋鹵王 : 근개루왕) 때 이르러 국력이 쇠약해졌고, 반도백제는 모도왕(牟都王) 때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되어 중국 남조의 왕조들과 교류하게 되어 이때부터 중국 사서들에 백제에 관하여 헷갈리게 기록되기 시작하는 것이고,
대륙백제 개로왕(근개루왕)과 반도백제 모도왕 사이에 두 백제의 통합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결국 문주왕과 삼근왕 대를 지나 479년경 반도백제가 대륙백제를 흡수통합하게 된다.
위 도표 중 청색으로 표기된 동성왕으로부터 그 이후의 왕들은 반도백제 무광왕(武廣王)의 후예들로서 반도백제 모도왕(牟都王)이 대륙백제를 흡수통합한 후 둘째 손자인 모대(동성왕)를 처음 대륙백제로 보내 왕위에 올렸고, 그 이후 대륙백제의 왕들은 모두 반도백제 무광왕, 모도왕의 후예들이었다.
따라서 시조 온조왕부터 23대 삼근왕까지는 대륙백제에 왕릉이 조성되었을 것이나,
24대 동성왕부터는 한반도에 왕릉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반도백제 무광왕, 모도왕의 후예임이 확실한 25대 무령왕이 대륙백제로 건너가 왕위에 올랐으나 그의 능이 한반도 충남 공주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고, 또한 부여에서 창왕(위덕왕의 이름)명석조사리감명문, 창왕명사리기명문 등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리 추정된다는 말이다.
☆ 동성왕과 무령왕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이들의 아버지는 반도백제 모도왕(牟都王)의 아들이었던 곤지(昆支)였고, 이들은 이복 형제지간이었다. 동성왕이 무령왕보다 아홉살 위인 이복형이었고, 무령왕이 이복동생이었다.
그리고 창왕은 위덕왕을 말하는 것인데, 위덕왕의 아버지인 성왕이 대륙백제에서 전선에 가 있던 아들 창(위덕왕의 이름)을 위문하기 위하여 그곳으로 가다가 신라군에게 잡혀 죽었다.
그런데 대륙백제에서 죽었을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한 절이 한반도 충남 부여에 지어졌음이 확인되기 때문에 성왕의 능도 한반도 부여 능산리에 조성된 것이 아닌가 추정이 가능하고, 이때 불탑에 넣을 사리를 창왕(위덕왕)의 누이가 공양했다는 기록이 곧 창왕명석조사리감의 명문이고, 창왕이 또 죽은 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지금의 충남 부여 부소산 맞은 편 강건너에 절을 짓고 불탑에 사리를 봉안했다는 기록이 창왕명사리기의 명문이다.
그렇다면 반도백제 무광왕(武廣王), 모도왕(牟都王)의 후예왕들인 반도백제의 왕릉들은 그렇다 치고,
온조왕으로부터 23대 삼근왕까지 대륙백제 왕들의 능은 지금의 어디에 조성했을까?
대륙백제의 한산(漢山) 부아악(負兒嶽)은 지금의 하북성 당산 천안시 건창영진 북쪽 노군태(老君台 : 老君臺) 부근을 말하는 것이고, 첫도읍지 위례성은 지금의 하북성 진황도 도산(都山) 남쪽 청룡현 니수항(泥水港) 부근이고, 두 번째 도읍 남한성은 하북성 당산 천안시(遷安市) 건창영진(建昌營鎭) 부근이며, 세 번째 도읍 한성은 하북성 도산 남쪽 청룡현 초영자진(肖營子鎭)부근이고, 네 번째 도읍 웅진은 진황도 노룡(盧龍)이며, 다섯 번째 도읍 사비는 당산시 난현(灤縣, 난주라고도 부른다)이었으므로 대륙백제의 왕릉은 각 도읍들 부근 가까이에 조성했거나 아니면 한산(漢山) 부근에 왕실묘역을 조성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백제의 왕릉 조성지에 대하여는 단 한 줄도 기록되어 있지 않아 이미 한반도 충남 공주에서 발견된 대륙백제 25대 무령왕릉 이외에는 그 구체적인 조성 위치에 대하여 아직 아무 것도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