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니하 2

윤여동설 - 신라와 말갈의 국경 니하(泥河)의 위치 찾기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신라와 말갈의 국경 니하(泥河)의 위치 찾기 - 최초주장   [신라의 니하(泥河)는 요녕성 조양시 북표시 동쪽 망우하(牤牛河)]    삼국사기 신라 6대 지마왕 14년(A.D.125) 조를 보면, “봄 정월에 말갈이 북쪽 변경으로 대부대로 몰려와서 관리와 백성들을 죽이고 노략질을 하더니 가을 7월에 또 대령책을 습격하고 니하(泥河)를 넘었다. 왕이 백제에 글을 보내 구원을 청하니 백제가 5명의 장군을 보내 도우매 적병이 소문을 듣고 물러갔다”고 기록되어 있고,  또 20대 자비왕 11년(A.D.468) 조를 보면, “봄에 고구려가 말갈과 함께 북쪽 변경의 실직성(悉直城)을 습격하였다. 가을 9월에 하슬라 백성들로서 15세 이상되는 사람들을 징발하여 니하(泥河)에 성을 쌓았다[니하는 일명 니천..

카테고리 없음 2013.11.16

윤여동설 - 발해의 건국지 동모산(東牟山) 위치 찾기 - 최초공개

윤여동설 - 발해의 건국지 동모산(東牟山) 위치 찾기 - 최초공개   [발해 중경현덕부 추정지 : 내몽골 파림우기]   구당서 발해말갈 전에,  “조영은 마침내 그 무리를 거느리고 동쪽으로 가서 읍루(필자주 : 원문은 계루로 되어 있으나 오기이므로 필자가 고쳤다)의 옛 땅을 차지하고 동모산(東牟山)에 웅거하여 성을 쌓고 살았다.  조영이 굳세고 용맹스러우며, 용병을 잘하자 말갈의 무리 및 고구려의 남은 무리가 점점 모여들었다.  성력(A.D.698~699) 중에 스스로 진국왕(振國王)에 올라 돌궐에 사신을 보내 통교하였다.  그 땅은 영주(營州) 동쪽 2천리에 있으며, 남쪽은 신라와 접했다.“ 라고 기록하고 있고,  신당서 발해 전에는,    “발해(渤海)는 본래 속말말갈(粟末靺鞨)로서 고(구)려에 부속..

카테고리 없음 2009.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