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백신토곡 2

윤여동설 - 광개토태왕의 일생

윤여동설 - 광개토태왕의 일생    [374년 왕탄생] 광개토태왕의 성은 고씨요, 이름은 담덕이다. 고구려 소수림왕 4년인 서기 374년 갑술년에 고추가 이련(어지지라고도 한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았다.  태어날 때부터 영웅스러웠고 자라면서 활달한 의지를 가졌었다.  [384년 왕11세] 17대 소수림왕이 384년 11월에 죽고 아들이 없자 그 동생인 고추가 이련이 왕위를 이었는데, 이가 곧 고구려 18대 고국양왕으로서 후일의 영락태왕(광개토태왕) 담덕의 아버지이다.    [386년 왕13세] 그리하여 고국양왕의 장자였던 담덕은 고국양왕 3년인 386년 정월에 이르러 13세의 나이에 태자로 봉해졌고, 이해 8월에 고국양왕이 군사를 출동시켜 남쪽의 백제를 정벌했는데, 이때..

카테고리 없음 2011.06.01

윤여동설 - 고구려의 광개토태왕은 최대 어디까지 정복했을까?

윤여동설 - 고구려의 광개토태왕은 최대 어디까지 정복했을까?                                                                                        압록강 북쪽인 길림성 집안(輯安)에서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비(호태왕비 또는 광개토왕비라고도 부른다)가 발견되어 광개토태왕이 평생에 과연 어디까지 정복했는가 하는 논쟁이 시작되었다.  광개토태왕 당시 고구려의 영향력이 과연 어디까지 뻗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지금 조그마한 한반도에 갇혀 왜소해진 우리 국민들의 대륙기질을 잠 깨울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최대의 강역을 이룬 광개토태왕이 당시 어디까지 정복했을까 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자긍심과 가능성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한민족의 ..

카테고리 없음 2007.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