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카테고리 없음

윤여동자료실 - ○대조(代祖)와 ○세조(世祖) 그리고 ○대손(代孫)과 ○세손(世孫) 과연 어느 것이 옳은 표현일까?

윤여동 2015. 2. 15. 06:00

윤여동자료실 - 대조(代祖)세조(世祖) 그리고 대손(代孫)세손(世孫) 과연 어느 것이 옳은 표현일까?

 

 

 

  요즈음 사람들 가운데 조상(선조)과 후손을 구분하는 호칭인 대조(代祖)”세손(世孫)”에 대하여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조상(선조)의 비석을 세우면서 10대손 아무개가 글을 지었다고 한다든지, 10세손 아무개가 글씨를 썼다는 식으로 대손(代孫)과 세손(世孫)을 구별없이 사용하고 있고, 또는 조상(선조)을 말할 때 15대조 또는 15세조 라고 하면서 대조(代祖)와 세조(世祖)를 구별없이 사용하기도 하는데, 과연 문제는 없는 것일까?

 

  서기 414년 갑인년에 세운 고구려 호태왕비문을 보면,

  “還至十七世孫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라고 새겨져 있는데, 이는 세월이 흘러 17세손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에 이르러...........”라는 뜻으로 호태왕(광개토태왕)이 고구려 건국시조 추모왕의 17세손이라는 의미이다.

  당시 고구려 왕실에서는 후손을 말할 때 세손(世孫)”을 사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국사기 신라본기 38대 원성왕 조를 보면, “元聖王立 諱敬信 奈勿王十二世孫(원성왕이 왕위에 올랐다. 나물왕의 12세손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에서도 후손을 말할 때 세손(世孫)”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삼국유사 가락국기를 보면, “신라 30대 법민왕(문무왕) 용삭 원년(A.D.661) 신유년 3월에 왕이 조서를 내렸다. ‘가야국 시조의 9대손(代孫) 구형왕이 이 나라에 항복할 때 데리고 온 아들 세종의 아들인 솔우공의 아들 서운잡간의 딸 문명황후께서 나를 낳으셨으니 시조 수로왕은 나의 15대조(代祖)가 된다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어, 조상을 대조(代祖)”로 기록하고 있다.

 

☆ 가락국기 기록대로라면 수로왕은 문무왕의 외가 14대조인데 15대조라고 잘못 기록되어 있고, 또 고려시대 기록된 가락국기에서 후손을 말하면서도 대손(代孫)”이라 한 것도 잘못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서 수로를 김유신의 12세조(世祖)라 한 것 역시 잘못 기록한 것이다. 이를 보면 고려 중기부터 대()와 세()를 헷갈려 잘못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리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 초기 조선왕실에서는 조상을 말할 때는 대조(代祖)”, 후손을 말할 때는 세손(世孫)”으로 엄격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후대로 내려오자 사람들이 헷갈리기 시작하여 대조(代祖)세조(世祖)” “대손(代孫)세손(世孫)” 등을 구별없이 사용하게 되어 지금에 이르러서는 어느 것이 옳은지 그른지 구별할 수 있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게 되고 말았다.

 

  그러나 상대하세(上代下世)”라고 하는 원칙만 지키면 혼란이 있을 수 없다. 즉 조상을 말할 때는 대조(代祖)”를 사용하고, 후손을 말할 때는 세손(世孫)”을 사용하면 헷갈릴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조선 중, 후기에 이르면 내노라 하는 선비가 썼다는 문집이나 비문을 보면 이를 헷갈린 경우가 너무도 많고, 그러다보니 지금 사람들은 그를 빤히 보고 있으면서도 틀린 줄도 모르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10대조

                                                                       9대조

                                                                       8대조

                                                                       7대조

                                                                       6대조

                                                                       5대조

                                                                       4대조(고조)

                                                                       3대조(증조)

                                                                       2대조()

                                                                       1대조()

 

                                                           기준(본인)

 

                                                                       1세손()

                                                                       2세손()

                                                                       3세손(증손)

                                                                       4세손(고손)

                                                                       5세손

                                                                       6세손

                                                                       7세손

                                                                       8세손

                                                                       9세손

                                                                     10세손

 

   따라서 제사 때 축문을 쓸 때 世孫 ○○ 敢昭告于라고 써야지 代孫 ○○ 敢昭告于라고 써서는 안된다는 말이고,

조상의 묘비석에 글씨를 새길 때도 世孫 ○○또는 世孫 ○○謹書라고 써야 올바르다는 말이다.

  각자의 집안 선조의 산소에 세워져 있는 비문을 유심히 살펴보면 어느 비석에는 세손 ○○라고 새겨져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비석에는 대손 ○○라고 쓴 경우가 있을 것인데, 필자가 이를 지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는 세손(世孫)1을 더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느 사람이 시조 ○○49세손(世孫)이라면 그는 시조로부터는 50()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