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카테고리 없음

윤여동설 – 고조선(왕검조선)과 고구려,백제,신라,가야,고려까지의 천문관측지는 발해 북쪽이 확실 - 최초공개

윤여동 2021. 10. 24. 05:59

윤여동설 고조선(왕검조선)과 고구려,백제,신라,가야,고려까지의 천문관측지는 발해 북쪽이 확실 - 최초공개

 

[필자가 밝힌 고대의 요동과 발해 북쪽 고조선(왕검조선)과 삼한 그리고 고구려,백제,신라,가야와 고려의 중심강역]

 

[박창범이 그의 저서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에서 밝힌 백제의 일식 최적관측지의 중심지가 지금의 발해 북쪽 지역인데, 윤여동설에 따르면 우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중심 강역이 바로 이 지역으로 나타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천문관측 기록]

 

온조왕 6(B.C.13) 가을7월 그믐날 신미에 일식이 있었다.

다루왕 7(A.D.34) 여름4월 동방에 붉은 기운이 나타났다.

46(A.D.73) 여름5월 그믐날 무오에 일식이 있었다.

기루왕 9(A.D.85) 여름4월 을사에 객성이 자미성좌로 들어갔다.

11(A.D.87) 가을8월 그믐날 을미에 일식이 있었다.

16(A.D.92) 여름6월 초하루날 무술에 일식이 있었다.

개루왕 10(A.D.137) 가을8월 경자에 형혹성이 남두성좌를 침범했다.

28(A.D.155) 봄정월 그믐날 병신에 일식이 있었다.

초고왕 5(A.D.170) 3월 그믐날 병인에 일식이 있었다.

21(A.D.186) 겨울10월 혜성이 서북쪽에 나타났다가 20일 만에 사라졌다.

24(A.D.189) 여름4월 초하루날 병자에 일식이 있었다.

26(A.D.191) 가을9월 치우기별이 각성과 항성 성좌에 나타났다.

39(A.D.204) 겨울10월 혜성이 동성성좌에 나타났다.

40(A.D.205) 가을7월에 태백성이 달을 범하였다.

47(A.D.212) 여름6월 그믐날 경인에 일식이 있었다.

구수왕 8(A.D.221) 여름6월 그믐날 무진에 일식이 있었다.

11(A.D.224) 겨울10월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고이왕 16(A.D.249) 봄 정월 갑오에 태백성이 달을 덮었다.

26(A.D.259) 가을9월에 푸르고 보랏빛 나는 구름이 왕궁 동쪽 하늘에 떠올랐는데 마치 누각 형상과 같았다.

36(A.D.269) 가을9월에 혜성이 자미궁 성좌에 나타났다.

분서왕 5(A.D.302) 여름4월에 혜성이 낮에 나타났다.

비류왕 5(A.D.308) 봄 정월 초하루날 병자에 일식이 있었다.

13(A.D.316) 봄에 가물었고 큰 별이 서쪽으로 흘러갔다.

18(A.D.321) 가을7월에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22(A.D.325) 겨울10월에 하늘에서 소리가 들렸는데, 마치 바람이 서로 부딪치는 파도소리 같았다.

24(A.D.327) 가을7월에 붉은 까마귀 같은 구름이 양편에서 해를 기웠다.

30(A.D.333) 여름5월에 별이 떨어져 왕궁에 화재가 나서 민가들까지 연소하였다.

32(A.D.335) 겨울10월 초하루날 을미에 일식이 있었다.

33(A.D.336) 봄 정월 신사에 혜성이 규성 성좌에 나타났다.

근초고왕 23(A.D.368) 3월 초하루날 정사에 일식이 있었다.

근구수왕 10(A.D.384) 2월 해무리가 세 겹으로 둘러졌다.

진사왕 6(A.D.390) 가을7월 혜성이 북하 성좌에 나타났다.

8(A.D.392) 여름5월 초하루날 정묘에 일식이 있었다.

아신왕 3(A.D.394) 가을7월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4(A.D.395) 2월에 혜성이 서북방에 나타났다가 20일만에야 사라졌다.

9(A.D.400) 2월에 혜성이 규성과 루성 사이에 나타났다.

여름6월 초하루날 경진에 일식이 있었다.

전지왕 11(A.D.415) 여름5월 갑신에 혜성이 나타났다.

13(A.D.417) 봄 정월 초하루날 갑술에 일식이 있었다.

15(A.D.419) 봄정월 무술에 혜성이 태미 성좌에 나타났다.

겨울11월 초하루날 정해에 일식이 있었다.

비유왕 14(A.D.440) 여름4월 초하루날 무오에 일식이 있었다.

28(A.D.454) 별이 비처럼 떨어지고 혜성이 서북에 나타났는데 길이가 두발 가량이나 되었다.

개로왕 14(A.D.468) 겨울10월 초하루날 계유에 일식이 있었다.

삼근왕 2(A.D.478) 3월 초하루날 기유에 일식이 있었다.

동성왕 17(A.D.495) 여름5월 초하루날 갑술에 일식이 있었다.

무령왕 16(A.D.516) 3월 초하루날 무진에 일식이 있었다.

성왕 10(A.D.532) 가을7월 갑진에 별이 비오듯 쏟아졌다.

12(A.D.534) 여름4월 정묘에 형혹성이 남두 성좌를 범하였다.

25(A.D.547) 봄정월 초하루날 기해에 일식이 있었다.

27(A.D.549) 봄정월 경신에 흰무지개가 해를 꿰었다.

위덕왕 6(A.D.559) 여름5월 초하루날 병진에 일식이 있었다.

19(A.D.572) 가을9월 초하루날 경자에 일식이 있었다.

26(A.D.579) 겨울10월에 혜성이 하늘에 뻗쳤다가 20일만에 없어졌다.

39(A.D.592) 가을7월 그믐날 임신에 일식이 있었다.

41(A.D.594) 겨울11월 계미에 혜성이 각성과 항성 성좌에 나타났다.

무왕 41(A.D.640) 봄정월에 혜성이 서북쪽에 나타났다.

 

 

[박창범이 그의 저서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에서 밝힌 고구려의 일식 최적관측지인데, 윤여동설에 따르면 고구려의 도읍들은 위 그림의 중심지가 아닌 그 남쪽 하북성 북부와 북경 부근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천문관측 기록]

 

   유리왕 13(B.C.7) 봄 정월 화성이 심성성좌에 머물렀다.

   민중왕 3(A.D.46) 겨울11월 혜성이 남쪽에 나타났다가 20일 만에 사라졌다

  태조대왕 64(A.D.116) 3월에 일식이 있었다.

    72(A.D.124) 가을9월 그믐날 경신에 일식이 있었다.

  차대왕 4(A.D.149) 여름4월 그믐날 정묘에 일식이 있었다.

    5월 오성이 동쪽에 모였다.

   일자(日者:천문관측을 담당하는 관리)가 왕이 노할까 두려워 속여 아뢰기를 이것은 왕의 덕이요 나라의 복입니다하니 왕이 기뻐하였다.

   8(A.D.153) 겨울12월 그믐날에 객성이 달을 범했다.

   13(A.D.158) 2월 혜성이 북두성좌에 나타났다.

   여름5월 그믐날 갑술에 일식이 있었다.

   20(A.D.165) 봄정월 그믐날에 일식이 있었다.

  신대왕 14(A.D.178) 겨울10월 그믐날 병자에 일식이 있었다.

  고국천왕 4(A.D.182) 3월 갑인일 밤에 붉은 기운이 태미성좌를 관통하였는데 그 형상이 뱀과 같았다.

   가을7월 혜성이 태미성좌에 나타났다.

   8(A.D.186) 여름4월 을묘에 형혹성이 심성성좌에 머물렀다.

   5월 그믐날 임진에 일식이 있었다.

   산상왕 21(A.D.217) 겨울10월 혜성이 동북방에 나타났다.

   23(A.D.219) 2월 그믐날 임자에 일식이 있었다.

   서천왕 4(A.D.273) 가을7월 초하루날 정유에 일식이 있었다.

   봉상왕 8(A.D.299) 가을9월 객성이 달을 범하였다.

   미천왕 원년(A.D.300) 12월에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

   16(A.D.315) 가을8월 혜성이 동북방에 나타났다.

  고국원왕 6(A.D.336) 3월 큰 별이 서북방으로 흘러 떨어졌다.

  소수림왕 13(A.D.383) 가을9월 혜성이 서북쪽에 나타났다

  양원왕 10(A.D.554) 12월 그믐날에 일식이 있었다.

   11(A.D.555) 11월에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평원왕 23(A.D.581) 2월 그믐날에 별이 비오듯 떨어졌다.

  보장왕 2(A.D.643) 915일 밤이 밝기는 하였으나 달이 보이지 않았으며, 뭇별들이 서쪽으로 흘러 떨어졌다.

 

[윤여동설에 의한 우리 역사 역대 왕조의 도읍과 현재 위치]

 

고조선(왕검조선)

아사달 : 지금의 내몽골 적봉시 영성현 대명진고성

왕검성 :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 피서산장(열하행궁)

백악산아사달 : 지금의 북경 동북쪽 무령산 부근

장당경(당장경) : 지금의 내몽골 적봉시 영성현

고구려

졸본 : 지금의 하북성 장가구시 적성현 후성진 부근

국내성 : 지금의 북경시 연경구 영녕진

환도성 : 지금의 북경시 회유구 발해진

평양성 :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

백제

위례성 : 지금의 하북성 진황도 도산 남쪽 부근

남한성 : 지금의 하북성 당산시 천안시 건창영진 부근

한성 : 지금의 하북성 진황도시 도산 남쪽 부근

웅진 : 지금의 하북성 진황도시 노룡현

사비 : 지금의 하북성 당산시 난현(난주)

신라

서라벌 : 지금의 요녕성 금주시(錦州市)

금관가야

금관성 : 지금의 요녕성 호로도시 흥성시(興城市)

고려

개경 : 지금의 하북성 승덕시 관성현(寬城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