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任那 2

윤여동설 – 고대의 왜국(倭國)은 지금의 요동반도, 임나(任那)는 발해 북쪽 하북성 진황도 일원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대의 왜국(倭國)은 지금의 요동반도, 임나(任那)는 발해 북쪽 하북성 진황도 일원 – 최초공개 중국 사서들에는 고대 왜국(倭國)의 위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전한서(前漢書) : 낙랑해 가운데 후한서(後漢書) : 한(韓)의 동남 대해 가운데 삼국지(三國志) : 대방(帶方) 동남 대해 가운데 진서(晉書) : 대방 동남 대해 가운데 송서(宋書) : 고구려 동남쪽 대해 가운데 남제서(南齊書) : 고구려 동남쪽 대해 가운데 수서(隋書) : 백제, 신라의 동남쪽 북사(北史) : 백제, 신라의 동남쪽 구당서(舊唐書) : 신라 동남쪽 대해 가운데 통전(通典) : 대방 동남쪽 대해 가운데 이상과 같이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의 일본이 한반도(韓半島) 동남쪽 열도에 위치하고 있고, 우리 역사학..

카테고리 없음 2022.09.22

윤여동설 - 임나(任那)는 있었다 지금의 중국 하북성 진황도에......- 최초주장

윤여동설 - 임나(任那)는 있었다 지금의 중국 하북성 진황도에......- 최초주장 임나(任那)가 있었다 없었다, 임나(任那)가 한반도 남부에 있었다, 아니다 대마도에 있었다, 아니다 큐우슈우에 있었다 등등 임나에 대하여 논란들이 아주 많다. 그런데 필자는 임나(任那)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느냐를 찾기에 앞서 먼저 고대 왜국이 과연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는지, 우리 신라, 백제, 고구려, 가야가 과연 어디에 위치했었는지를 먼저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임나는 가야의 일원이었고, 백제와 가까이 접하고 있었으며, 고구려 광개토왕이 임나의 종발성을 공격한 기록이 호태왕비문에 전하기 때문이다. [필자주 : 삼국사기 강수열전에도 강수 스스로 자신이 임나가량(任那加良) 사람이라 하였고, 진경대사탑비문에도 "..

카테고리 없음 2017.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