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보과공주 2

윤여동설 - 신라 법흥왕에게 시집간 백제 동성왕의 딸 보과공주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신라 법흥왕에게 시집간 백제 동성왕의 딸 보과공주 - 최초주장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흥왕 14년(A.D.553) 계유년 조를 보면, “겨울 10월에 왕이 백제 왕녀에게 장가들어 작은 왕비로 삼았다” 라고 기록하고 있고, 백제본기 성왕 31년(A.D.553) 조에도, “겨울 10월 왕의 딸이 신라에 시집을 갔다” 라고 기록하고 있어 기록대로라면 이때 백제 성왕의 딸이 신라 진흥왕에게 시집갔다고 하는 셈인데, 사실 이때는 역사적으로 나제동맹이 깨어져 신라와 백제의 관계가 매우 악화되어 있을 때였으므로 어떻게 그러한 정치적인 상황과는 상관없이 백제의 성왕이 딸을 신라 진흥왕에게 시집보낼 수 있었는지 의아해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런데 화랑세기 필사본에 의하여 신라로 시집간 백제공주가 26대 성왕의..

카테고리 없음 2009.06.25

윤여동설 - 백제 책계왕비 보과는 공손씨(公孫氏)였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 책계왕비 보과는 공손씨(公孫氏) 였다 - 최초주장    삼국사기 백제본기 건국설화를 보면, "북사와 수서에는 모두 '동명의 자손에 구태(仇台)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매우 어질고 신의가 있었다. 처음으로 대방 옛 땅에 나라를 세웠다. 한나라 요동태수 공손도의 딸로써 아내를 삼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동이의 강국이 되었다'고 하니 어느 것이 옳은지 알 수가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백제 동명왕의 후손인 구태라는 사람이 요동태수 공손도의 딸과 혼인을 했었다는 것을 알게 한다. ☆ 동명이란 고구려의 건국시조 주몽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졸본부여의 건국시조인 동명왕을 말하는 것이고, 구태는 백제 4대 개루왕의 차자로서 초고왕의 동생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대방 옛 땅에 백제를 세운 ..

카테고리 없음 2008.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