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신라금관 2

윤여동설 - 경주에는 세 쌍둥이 왕릉이 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경주에는 세 쌍둥이 왕릉이 있다 - 최초주장                              [위 : 경주 천마총출토 금관]                           [위 : 아프카니스탄출토금관 : 신라 금관과 매우 유사한 구조이다. 신라금관의 원형으로 추정된다]                                                  [위 : 경주 황남대총 출토 금관]                                              [위 : 경주 금관총 출토 금관]   경주에는 거의 똑같은 형식으로 만들어진 세 쌍둥이 왕릉이 있다.  신라 38대 원성왕릉으로 전해지고 있는 괘릉과 42대 흥덕왕릉으로 전해지는 고총과 김유신묘(흥무대왕릉)로 전해지는 고총..

카테고리 없음 2012.03.09

윤여동설 - 스키타이식 금관이 말해주는 한반도 고대사의 의문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스키타이식 금관이 말해주는 한반도 고대사의 의문 - 최초주장 [위 : 사마르티아 금관] [위 : 아프카니스탄 출토 금관] [위 : 한반도 고령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금관] [위 : 한반도 경주 황남대총 출토금관] 한반도 경주 부근의 고분들에서 출토된 금관들은 그 형태가 아름답기로 세계적으로도 유명한데, 금관총, 금령총, 서봉총, 황남대총, 천마총 등에서 출토되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멋진 금관을 쓴 신라왕들의 모습을 마음 속으로 그려보기도 한다. 그런데 신라금관, 가야금관과 비슷한 형태를 가졌으며, 시기적으로 앞서는 금관이 중앙아시아 흑해연안에서도 발굴되어 우리를 매우 혼란스럽게 한다. 어떻게 그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서 출토된 금관의 형태와 그곳으로부터 수만리나 떨어진 한반도 남쪽..

카테고리 없음 200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