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원 상도 2

윤여동설 - 원(元) 세조 쿠빌라이칸의 능은 과연 어디에 조성했을까? - 최초공개

윤여동설 - 원(元) 세조 쿠빌라이칸의 능은 과연 어디에 조성했을까? - 최초공개 쿠빌라이칸은 칭기즈칸이 총애한 아내에게서 출생한 4명의 아들 중 막내인 톨루이의 4번째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그는 30대 중반이던 1251년부터 몽골 제국의 영토 확장과 기반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그의 형인 몽케칸은 칭기즈칸의 셋째 아들인 오고타이가 계획했던 송의 정복과 페르시아 정벌을 결심하고, 페르시아 정벌은 쿠빌라이의 또 다른 형인 훌라구에게 맡겼고, 쿠빌라이에게는 중국정벌에 대한 군사·행정의 전권이 주어졌다. 쿠빌라이는 중국어를 읽거나 쓸 줄은 몰랐지만 중국 사상의 우수함을 일찍 깨닫고 자신의 주변에 믿을 만한 유교학자들을 불러 모았다. 그의 통치술은 주위 한족 학자들의 영향 아래 형성된 것이다. ..

카테고리 없음 2019.03.22

윤여동자료실 - 중국학자들이 말하는 금 항주성(恒州城)터와 원 상도성(上都城)터 구경

윤여동자료실 - 중국학자들이 말하는 금 항주성(恒州城)터와 원 상도성(上都城)터 구경 [위 : 중국에서 금 항주성터라고 하고 있는 지금의 내몽골 정람기 고성터이다. 항주성이라 하기전에는 "시랑성(侍郞城)" 이라고 불렀었다고 한다.] [위 : 지금 중국학자들이 원 상도성터라고 하는 내몽골 정람기부근의 고성터] 송사 몽고열전에는 “유병충(劉秉忠)을 시켜 환주(桓州) 동쪽 난수(灤水) 북쪽 용강에 성곽을 쌓고 '개평(開平)'이라 하였다가 (원) 상도(上都)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지금의 난하 상류 섬전하 강가인 정람기 부근에 중국 학자들이 원 상도유지라고 하는 큰 성터가 있다. 과연 이곳이 진짜 원 상도였을까?

카테고리 없음 201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