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치양 2

윤여동설 – 고구려 수곡성(水谷城)의 진짜 위치를 찾았다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구려 수곡성(水谷城)의 진짜 위치를 찾았다 – 최초공개     고구려의 수곡성(水谷城)은 고구려와 백제가 장기간에 걸쳐 뺏고 빼앗기는 공방전을 펼쳤던 성이다.  이는 수곡성(水谷城)이 두 나라 간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성이라는 의미와 같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39년(A.D.369) 조를 보면, “가을 9월 군사 2만으로 남쪽의 백제를 쳤는데, 치양(雉壤)에서 싸우다가 패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초고왕 24년(A.D.369) 조를 보면, “가을9월 고구려왕 사유(필자주 : 고구려 16대 고국원왕)가 보병과 기병 2만을 거느리고 치양(雉壤)에 와서 진을 치고 군사를 나누어 약탈하므로 왕이 태자(필자주 : 백제 13대 근초고왕의 아들로서 후일의 14대 ..

카테고리 없음 2022.11.19

윤여동설 - 고구려와 백제는 왜 개국후 400년간 전쟁을 하지 않았을까?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고구려와 백제는 왜 개국 후 400년 간 전쟁을 하지 않았을까? - 최초주장 고구려의 건국년도는 기원전 37년이고, 백제의 건국년도는 기원전 18년인데, 개국이후 약 400년간 두 나라간에 한번도 전쟁이 없었다. 그러다가 삼국사기 백제본기 13대 근초고왕 24년(A.D.369) 조에, "가을 9월 고구려왕 사유(고국원왕)가 보기병 2만을 거느리고 치양에 와서 진을 치고 군사를 나누어 민가들을 약탈하므로 왕이 태자를 보내 군사를 이끌고 지름길로 치양에 이르러 갑자기 쳐서 이를 깨뜨리고 적병 5천여 명의 수급을 얻었으며, 노획한 물품은 장병들에게 나누어주었다" 는 기록으로부터 두 나라간 전쟁기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16대 고국원왕 39년(A.D.369) 조에도..

카테고리 없음 200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