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하북성 적성현 후성진 졸본부여 2

윤여동설 – 세 부여(북부여, 졸본부여, 동부여)의 삼각관계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세 부여(북부여, 졸본부여, 동부여)의 삼각관계 – 최초주장  단군왕검          천제                 해씨                                     해씨넷째아들          해모수        |→ 해모수 북부여       →  해부루 동부여(가섭원부여) 부여      →       부여    →    |                                                |→ 동명왕 졸본부여     |   → 추모 고구려(해씨,고씨)                                                 부여씨                     |                                     ..

카테고리 없음 2021.12.18

윤여동설 – 고조선(왕검조선) 왕검성(王儉城)의 서쪽에 위치했던 부여(夫餘, 扶餘)의 원래위치 - 최초공개

윤여동설 – 고조선(왕검조선) 왕검성(王儉城)의 서쪽에 위치했던 부여(夫餘, 扶餘)의 원래위치 - 최초공개 [옛 부여와 북부여의 도읍성이었을 지금의 하북성 장가구시 적성현(赤城縣)] [적성고루(赤城鼓樓)] 규원사화(揆園史話) 단군기(檀君記)를 보면, 고조선(왕검조선)의 초기강역에 대하여, “북쪽으로는 대황(大荒)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알유(猰貐. 필자주 : 흉노를 말한다)를 거느리고, 남쪽으로는 해대(海岱)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창해(蒼海, 필자주 : 대해의 오기이다)에 닿았다” 라고 기록되어 있고, 또 고조선(왕검조선)의 제후국에 대하여, “천하의 땅을 공적에 따라 나누어 주었다. 치우씨(蚩尤氏)의 후손에게는 남서쪽의 땅을 주었는데, 들이 넓고 바다와 하늘이 푸르러 남국(藍國)이라 하였다......[필..

카테고리 없음 2021.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