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준화대방설 5

윤여동설 - 백제왕들의 작위 속에 나타나는 백제의 위치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왕들의 작위 속에 나타나는 백제의 위치 - 최초주장    [거란지리지도인데, 등주, 래주 등 지금의 산동반도에서 북쪽으로  발해를 건넌 곳 즉 지금의 산해관 부근에 고려, 백제, 신라계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만이 그 위치가 아리송한 우리 고구려, 백제, 신라의 위치를 제대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13대 근초고왕(재위 346-375)진동장군 영낙랑태수((A.D.372) : 동진  ※ 진서(晉書) 권9 제기 제9 간문제 함안 2년(A.D.372) 조에, "百濟王餘句爲鎭東將軍 領樂浪太守"라고 기록되어 있어 근초고왕의 이름이 부여구(扶餘句) 임을 알 수 있고, 이때 근초고왕이 동진으로부터 받은 작위가 백제 최초의 작위로 보이는데, "영낙랑태수"라는 작위를 받았다는..

카테고리 없음 2008.08.20

윤여동설 - 일본천황은 지금의 요동반도에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도래인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일본천황은 지금의 요동반도에서 살다가 일본열도로 건너간 도래인이다 - 최초주장     지금 일본 사람들은 일본의 천황들이 원래부터 지금의 일본열도에서 수천 년 간 대를 이어 천황노릇을 했으며, 왜국의 건국시조라는 신무천황으로부터 평성천황까지 125대이고, 기원전 660년부터 2008년 현재까지 2,669년 간 이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유지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왕조라고 자랑한다.  그런데 문제는 고대의 왜국이 지금의 일본열도에 위치하고 있던 나라가 아니라 중국 요녕성 요동반도에 위치하고 있던 나라였고, 서기 670년에 국호를 일본으로 바꾼 뒤에도 수백년 간 요동반도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고대의 왜국은 섬나라가 아니었으나, 지금의 일본은 일본열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

카테고리 없음 2008.07.20

윤여동설 - 대방은 북경 동쪽 준화 부근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대방은 북경 동쪽 준화 부근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우리 삼한 삼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백제 왕실과 직접적인 관계가 많았던 대방에 대하여 우리는 지금 그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대방(帶方)이 한반도 내에 위치했었을 것으로 역사를 인식한다. 이는 삼국유사에 남대방의 위치를 "지금의 남원부"라고 주를 달아 놓았고, 또 조선시대의 역사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 남원도호부 조에도 "본래 백제 고룡군인데 후한 건안 중에 대방군이 되었고, 조위 때 남대방군이 되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 기록들을 한반도의 전북 남원에 그대로 적용하여 남원 부근이 대방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또 삼국지 한(韓) 전에 "한은 대방의 남쪽에 있는데, 동쪽과 서쪽은 바다를 한계로..

카테고리 없음 2008.06.22

윤여동설 - 삼한(三韓)은 지금의 북경 동쪽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삼한(三韓)은 지금의 북경 동쪽에 위치했었다 - 최초주장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변진)을 말하는 것으로서 지금 우리는 삼한이 사방 1천리쯤이 되는 한반도 남부를 나누어 서울, 경기, 충청, 전라도가 마한이었다고 하고, 경북일원을 진한이었다고 하며, 경남 일원이 변한이었다고 인식한다. 그런데 삼국지 한(韓)전을 보면, "조선후 준이 왕을 참칭하다가 연나라에서 망명한 위만의 공격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고, 그의 좌우 근신과 궁인들을 이끌고 도망하여 바다를 건너 한의 땅에 살면서 스스로 한왕이라 했다. 그의 후손은 끊어졌으나 지금 한인 중에는 아직 그의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있다. 한나라 때는 낙랑군에 소속되어 철마다 조알하였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기원전 194년 준왕이 위만의 침공을 받고, ..

카테고리 없음 2008.06.19

윤여동설 - 대방군(帶方郡)은 어디를 말하는가?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대방군(帶方郡)은 어디를 말하는가? - 최초주장 삼국지 한(韓) 전에는, "(후한) 환제와 영제 말기에 한(韓)과 예(濊)가 강성하여 군·현에서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여 군·현의 많은 백성들이 한국으로 흘러 들어가자 건안(A.D.196∼219) 중에 공손강이 둔유현 남쪽의 황무지를 나누어 대방군으로 만들고 공손모, 장창 등을 보내 유민을 불러모으고, 군대를 일으켜 한과 예를 정벌하자 옛 백성들이 점점 돌아왔고 그 후 왜와 한이 드디어 대방에 속하게 되었다. 경초(A.D.237∼239) 중에 명제가 몰래 대방태수 유흔과 낙랑태수 선우사를 보내 바다를 건너가서 두 군을 평정했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대방군이 공손강에 의해 건안 중에 설치되었고, 그 위치는 둔유현의 남쪽이며, 주변에 한과 예 그리고..

카테고리 없음 2007.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