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잃어버린 대륙 역사강역을 찾는 사람들

백제 무광왕 8

윤여동설 - 원(元) 지원(至元) 4년(A.D.1267)까지도 존재한 백제는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 최초주장

윤여동설 - 원(元) 지원(至元) 4년(A.D.1267)까지도 존재한 백제는 과연 어디에 있었을까? - 최초주장    원사를 보면,  "세조 지원 4년(A.D.1267) 정월 백제가 그 신하 양호를 보내 내조하여 비단을 차등있게 하사했다(世祖至元四年正月百濟遣其臣梁浩來朝賜以錦繡有差)”라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가 모두 잘 알고 있다시피 백제는 서기 660년에 나당연합군의 침공을 받고 나라가 멸망했고, 견훤의 후백제 역시 936년에 소멸했다.   그런데 백제는 그 후에도 어디선가 명맥을 유지하면서 1267년에 원나라에 사신을 보내자 원 세조인 쿠빌라이 칸이 비단을 하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원사가 없는 사실을 기록했을 리도 없을 것인데, 백제가 멸망한지 600년도 더 지난 1267년까지 백제가..

카테고리 없음 2017.01.21

윤여동설 - 반도백제 무광왕(武廣王)이 세운 제석정사(제석사)의 창건연대는 370년경이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반도백제 무광왕(武廣王)이 세운 제석정사(제석사)의 창건연대는 370년경이다 - 최초주장                         [익산 제석사지 목탑지 발굴당시 사진]                   [제석사지 목탑 심초석  :  발굴, 정비 전 사진]                               [익산 제석사지 출토 제석사(帝釋寺)명 와당]                              [익산 왕궁리 5층석탑 출토 사리병]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 중 백제 무광왕 관련 기사를 보면, 百濟 武廣王 遷都 枳慕密地 新營精舍백제 무광왕이 지모밀지로 천도하고 정사(절)를 새로 지었다.以貞觀 十三年 歲次 己亥 冬十一月그런데 정관 13년(A.D.639) 기해년 겨울 11월에 天大雷雨..

카테고리 없음 2017.01.06

윤여동설 - 백제 무광왕, 모도왕, 곤지왕자, 동성왕, 무령왕의 관계를 명쾌하게 밝힌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백제 무광왕, 모도왕, 곤지왕자, 동성왕, 무령왕의 관계를 명쾌하게 밝힌다 - 최초주장   [반도백제 무광왕과 왕비의 능으로 추정되는 익산 쌍릉의 위치]                                                  [대륙백제]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                                                                   ↓         ..

카테고리 없음 2013.08.17

윤여동설 - 공주 의당면 수촌리고분은 무광왕이 세운 반도백제의 왕족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 - 최초주장

윤여동설 - 공주 의당면 수촌리고분은 무광왕이 세운 반도백제의 왕족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 - 최초주장         백제 “무광왕(武廣王)”은 아직까지 비밀 속의 왕이다.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아무리 뒤져봐도 백제의 왕 중에 무광왕이라는 왕은 존재하지 않고, 백제의 도읍 중에 지모밀지라는 곳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에 대한 기록은 정사에는 단 한 줄도 나타나지 않고 오직 관세음응험기의 기록 속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百濟武廣王遷都枳慕密地新營精舍(백제 무광왕이 지모밀지로 천도하고 새로이 절을 지었다)” 라고............  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은 이 관세음응험기라는 기록의 신빙성에 대하여 의심의 눈초리를 늦추지 않는다.  그러나 백제 역사를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무광왕이라는 왕이 누구를 말..

카테고리 없음 2011.11.04

윤여동설 - 한반도 최초의 절은 백제 무광왕이 세운 제석정사일 가능성 - 최초주장

윤여동설 - 한반도 최초의 절은 백제 무광왕이 세운 제석정사일 가능성 - 최초주장 [불에 타 폐허가 되었다는 제석사지에 깨어진 탑의 심초석만 남아 있다] [반도백제 무광왕릉과 왕비릉으로 추정되는 익산 쌍릉] 삼국사기 기록 상 우리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 중에서 불교가 맨 처음 전래된 나라는 고구려로서 17대 소수림왕 2년인 372년으로 기록되고 있다. 기록을 보면, "2년(A.D.372) 여름 6월 진(前秦)나라왕 부견이 사신과 중 순도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보내왔으므로 왕이 사신을 보내 토산물로서 답례했다" "4년(A.D.374) 중 아도가 왔다" "5년(A.D.375) 봄 2월 처음으로 초문사를 창건하여 순도가 있게 하고, 이불란사를 창건하여 아도가 있게 하니 이것이 해동불법의 시초이다" 라고..

카테고리 없음 2007.11.01

윤여동설 - 동성왕은 웅진 대궐 동쪽 어디에 임류각을 세웠을까? - 최초공개

윤여동설 - 동성왕은 웅진 대궐 동쪽 어디에 임류각을 세웠을까? - 최초공개 [위 : 한반도 충남 공주 공산성 내에 복원해 놓은 임류각 ㅋㅋ] [위: 웅진 공산(公山) 추정지(진황도 노룡현)] [위 : 웅진성 동쪽 임류각 추정지]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22년(A.D.500) 조에는, "봄에 대궐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세웠는데, 높이가 다섯 길이나 되고 또 연못을 파고 진기한 새를 길렀다. 잘못을 간하는 신하들이 상소문을 올렸으나 답하지 않고 다시 잘못을 간하는 사람이 있을까 염려하여 대궐문을 닫아버렸다" 라고 기록되어 있어 학자들은 동성왕 때 백제의 도읍이 웅진이었으므로 그 웅진이 지금의 충남 공주였고, 백제의 왕궁이 그곳의 공산성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해 공산성 동쪽에서 임류각을 찾으려 노력했다...

카테고리 없음 2007.10.15

윤여동설 - 대륙백제와 반도백제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대륙백제와 반도백제 - 최초주장 백제에 정말 모도왕(牟都王)이라는 왕이 왕위에 오른 적이 있었을까?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기록되고 있는 백제의 왕위는 시조 온조왕으로부터 31대 의자왕까지 기록되어 있을 뿐 그 중에 모도왕이라는 백제왕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중국 정사서에는 "모도(牟都)"라는 사람이 백제의 왕위에 오른 적이 있고, 남제에서 작위까지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그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논쟁의 발단은 남제서 백제국 전에, "(백제 동성왕을) 사지절 도독 백제제군사 진동대장군으로 삼고, 알자복야 손부를 사신으로 파견하여 책명으로 모대(동성왕)를 죽은 그의 할아버지 모도(牟都)의 뒤를 이어 백제왕으로 봉하며 말하기를 '아 기쁘다. 그대들은 충성심과 부지런함을 대대..

카테고리 없음 2007.10.15

윤여동설 - 북위는 어떻게 백제를 침공할 수 있었을까? - 최초주장

윤여동설 - 북위의 수십만 기병은 어떻게 백제를 침공할 수 있었을까? - 최초주장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10년(A.D.488) 조를 보면, "위(북위)가 군사를 보내 우리를 침공하다가 우리 군사에게 패했다" 라고 간단하게 기록되어 있어 이때 백제와 북위간에 전쟁이 있었고 백제가 승전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전쟁이 끝난 후 백제의 동성왕은 남제에 표문을 보내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공이 많은 장군들의 관직을 높여 달라고 요청하게 된다. 남제서 백제국 전의 기록을 보면, 『"...... 공에 보답하고 열심히 노력한 것을 위로하여 그 이름을 길이 빛나게 하고자 한다. 가행영삭장군 신 저근(姐瑾) 등 네 사람은 충성스럽게도 온 힘을 기울여 국난을 없앴으니 그 뜻의 굳셈과 과감함이 명장의 등급에 오를만하..

카테고리 없음 2007.10.13